코인베이스, XRP 보유량 57% 감소…ODL 네트워크 활용 전략 강화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베이스가 지난 6월 이후 보유 중인 XRP의 양을 무려 57.4% 줄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내부 지갑 간의 이전뿐 아니라, 주요 외부 지갑으로의 자산 재배치를 통해 XRP 보유 관리 전략에 변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를 근거로 한 분석에 따르면, 코인베이스는 예전에는 52개의 콜드월렛에 약 10억 개의 XRP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현재 그 보유량은 절반 가까이 감소하였다. 현재 10개 지갑은 각각 2,680만 XRP를 보유하고 있으며, 나머지 42개 지갑은 각각 1,680만 XRP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최근 ‘코인베이스 콜드월렛 155’에서 ‘콜드월렛 10’으로 1,669만 XRP(약 760억 원) 규모의 자산이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이동은 내부 이체로 분류된다.
이러한 XRP 보유량의 축소에 대해 업계 전문가들은 다양한 해석을 내놓고 있다. 일부는 이번 재배치가 리플의 온디맨드 유동성(ODL) 네트워크나 비트스탬프, 비트고와 같은 외부 서브월렛으로의 자산 이동을 나타내고 있다고 보고 있다. 또 다른 시각에서는 코인베이스가 자체적인 리스크를 줄이고 ODL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해석하고 있다.
흥미롭게도, 이런 규모의 자산 이동에도 불구하고 시장 내에서 혼란이나 패닉셀과 같은 징후는 전혀 나타나고 있지 않다. 이는 코인베이스의 자산 분배가 전반적으로 체계적으로 계획된 움직임이며, 지갑 간 자산 분배의 효율성을 고려한 전술적 대응으로 비춰진다.
현재 XRP 가격에는 직접적인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나지 않고 있지만, 미국 외 글로벌 거래소와 수탁 채널을 통해 XRP의 유통량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코인베이스의 상대적 영향력은 점차 감소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는 XRP 생태계가 다양한 플랫폼으로 확장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XRP 보유량 축소가 단기적인 리스크 회피 전략인지 아니면 더 큰 구조 조정의 일환인지에 대해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XRP가 글로벌 결제 토큰으로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주요 거래소의 지갑 구조 변화는 암호화폐 업계 전반의 흐름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