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코인, 0.39달러로 사상 최고가 대비 87% 하락…회복 가능성 탐색 중

현재 파이코인(PI)은 1개당 약 0.39달러, 한화로 약 520원에 거래되며, 과거 최고가 대비 87% 하락한 상황이다. 2025년 2월에 기록한 최고가는 2.98달러(약 3,980원)였으나, 최근 몇 달 동안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강세장의 전체 시장 흐름 속에서도 파이코인은 별다른 반등을 보이지 않고 있다.
파이코인의 시가총액은 2025년 2월에 200억 달러에서 현재 30억 6,000만 달러로 급감했으며, 이는 투자자들의 신뢰도 하락과 함께 이탈을 초래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비트코인이 최근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며 시장 랠리를 이어가는 것과는 달리, 파이코인은 외면받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비트코인과의 상관관계 지수는 0.52로, 이는 평균보다 낮은 수치로 연동성이 줄어들고 있는 것임을 나타낸다.
기술적 분석에 따르면, 파이코인은 0.40달러 대에서 트리플 바텀 패턴과 하강 웨지(Falling Wedge)를 형성하고 있다. 두 패턴은 전통적으로 상승 반전 가능성을 시사하는 신호로 해석된다. 만약 이 패턴이 실제로 반등으로 이어진다면, 가격은 최대 1달러(약 1,330원)까지 상승할 수 있어, 현재 가격 대비 약 154%의 상승 여력이 있다고 분석된다.
파이코인의 가격 안정을 위해 일부 대규모 보유자(고래)의 매수와 파이 네트워크의 개입이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한 주요 지갑은 3억 3,100만 PI를 보유 중이며 지속적으로 매수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파이 코어 팀은 최근 4,600만 PI를 바이백(자체 매입) 지갑으로 이전해, 매도 압력을 완화하고 유통량 조절을 통해 가격 방어 효과를 노리고 있다. 이러한 노력과 함께, 락업 인센티브와 채굴 보상 축소 등이 동시에 진행되어 유통 공급을 줄이려는 전략도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파이코인은 여전히 주요 중앙화 거래소에 상장되지 않아 유동성과 거래 접근성이 큰 제약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메인넷이 완전히 통합되고 거래소 상장이 확대될 경우, 파이코인이 2030년까지 암호화폐 시장 상위 10위권 내에 진입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이런 전망은 파이코인의 레이어-1 블록체인 기술과 모바일 채굴의 특수성, 생태계 확장 여부에 따라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단기적으로는 기술적 패턴의 실현 가능성과 대규모 매수 행보, 프로젝트팀의 바이백 전략이 중요한 변수가 되고 있다. 현재 시장 참여자들은 과거의 하락세가 장기 성장 가능성을 저해하는 위기인지, 아니면 반등을 위한 저점 매수 기회인지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