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가격 6개월 최저… 파생 및 알트코인 시장 역시 하락세
비트코인(BTC) 가격이 6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암호화폐 시장의 불확실성이 심화되고 있다. 지난 몇 달 간 비트코인은 여러 차례 반등을 시도했지만, 매번 상승세를 지속하지 못하고 조정세를 겪었다. 특히, 지난 11월 10일 미국 상원에서 예산 협상이 진전을 보였을 때 비트코인은 한 때 10만 7,500달러(약 1억 4,935만 원)를 초과했으나, 곧바로 하락세로 전환되어 10만 5,000달러(약 1억 4,625만 원) 이하로 떨어졌고, 현재는 약 9만 5,000달러(약 1억 3,300만 원)로 하락했다.
이러한 약세 흐름은 파생상품 시장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올 10월 중반 최고점을 찍은 이후, 비트코인은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며 많은 거래자들이 강제 청산되는 사태를 겪었다. 이로 인해 주요 무기한 계약에서 미결제약정이 급감하며 시장의 레버리지가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했다. 11월 초의 하락장에서는 추가적인 청산 없이 시장이 비교적 조용히 정리됐다.
비트코인 외에도 이더리움(ETH), 솔라나(SOL) 등 주요 알트코인들도 하락폭을 회복하지 못하고 지속적인 부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종목들은 대부분 주요 저항선 아래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회복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옵션 시장 또한 불확실한 상황이다. 올해 초와 비교해 변동성 기대치가 상승했으며, 풋 옵션의 수요가 급증하는 등 방어적인 포지션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무기한 계약의 펀딩비는 대형 종목들을 중심으로 상이한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알트코인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시장 반응을 이어가고 있다.
시장 참여자들은 최근 큰 폭의 조정 이후 매수에 나서기보다는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전반적인 시장 태세가 공격적이지 않고 방어적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암호화폐 시장의 보수적인 흐름이 지속되는 것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한편, 미국 정부의 셧다운 종료 이후 증시는 반등세를 보이며 다우지수가 신고가를 경신하는 등 전통 금융시장과의 대조적인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디지털 자산 시장은 여전히 매크로 경제 뉴스에 일시적으로만 반응하고 있다.
결국 비트코인이 상승 추세로 돌아서기 위해서는 단기적인 재료보다는 시장 내 신뢰 회복과 구조적인 수급 개선이 필수적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구조적인 변화 없이는 단기적인 가격 회복이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