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비트, 솔라나 핫월렛 해킹으로 540억 원 손실…2019년 이후 최악의 보안 사고
최근 업비트가 솔라나(SOL) 네트워크에 속한 핫월렛에서 발생한 해킹 사건으로 약 540억 원 규모의 암호화폐가 탈취되었다고 밝혔다. 이는 2019년 이더리움(ETH) 지갑 도난 사건 이후 최악의 보안 사고로 기록되고 있으며,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는 사건 발생 직후 신속한 대응 조치를 취했다.
해킹 사고가 발생한 시간은 한국시간으로 27일 오전 4시 42분경이며, 이 시점에 솔라나 핫월렛에서 비정상적인 출금 행위가 포착되었다. 업비트는 즉각 해당 지갑을 격리하고 솔라나 네트워크 전반에 대한 모든 입출금을 중단하는 조치를 취하여 추가 피해를 예방했다.
탈취된 암호화폐는 약 3,700만 달러(540억 원) 규모며, 해커는 다양한 암호화폐를 동시에 탈취한 후 외부 지갑으로 송금한 것으로 추정된다. 피해를 입은 자산에는 솔라나(SOL) 외에도 스테이블코인인 USDC, 렌더(RENDER), 파이네트워크(PYTH), 주피터(JUP), 오르카(ORCA), 지토(JTO), 라디움(RAY)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일부 밈코인인 봉크(BONK), MEW, MOODENG도 해킹의 대상이 되었다.
전문가들은 이번 해킹 사건에서 유출된 자산 이동 방식이 체인 간 전송(Cross-chain transfer)으로 복잡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자금 추적이 어렵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체인 분석 툴의 기능을 저하시키며, 자금 회수와 범인 추적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현재 업비트는 사고 발생 경위를 철저히 조사하고 있으며, 내부 보안 절차에 대한 점검도 진행 중이다. 업비트는 현재 약 110억 달러(16조 800억 원) 규모의 사용자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아시아 최대의 암호화폐 거래소로 자리 잡고 있다. 이번 사건은 중앙화 거래소와 솔라나 생태계의 보안 리스크를 다시금 부각시키고 있으며,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플랫폼 신뢰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거래소 핫월렛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자산 분산 보관 및 출금 지연 설정 등을 통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해킹 발생 시 보유 자산이 일시적으로 묶일 수 있기 때문에, 투자 전략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해킹 사고는 암호화폐 시장에 있어 보안의 필요성과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을 재차 상기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사용자들은 앞으로 더욱 신중한 투자 전략과 자산 관리를 고려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