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가상자산 규제 주도권 회복…트럼프와 ETF로 글로벌 중심으로 도약

미국이 가상자산 관련 정책에서 유럽연합(EU)과 영국을 제치고 주도적인 위치에 오르고 있다. 최근 몇 주 동안 연방 의회를 중심으로 가상자산 관련 법안들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정치권의 높은 관심과 주요 상장지수펀드(ETF)로의 대규모 자금 유입이 맞물려 글로벌 디지털 자산 정책의 중심이 미국 쪽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최근 코인데스크 팟캐스트 ‘바이트사이즈 인사이트(Byte-Sized Insight)’에서 제미니(Gemini) 유럽총괄 마크 제닝스(Mark Jennings)는 코인텔레그래프의 사바나 포티스(Savannah Fortis)와 함께 미국, 영국, EU의 가상자산 규제 동향을 면밀히 분석했다. 그는 각국의 정책 차이가 혁신, 채택, 그리고 투자 속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EU는 미카(MiCA) 규제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접근을 지속하고 있으며, 영국 또한 점진적인 법제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미국은 최근 정치권의 주도로 법안들이 속속 제정되면서 규제의 명확성을 높이고 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공화당의 친(親)크립토 정책, 그리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현물 비트코인 ETF 승인 후 본격적으로 유입된 자금은 미국을 크립토 혁신의 새로운 허브로 부각시키는 중요한 원동력이 되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미국의 정책 기조 변화가 글로벌 가상자산 생태계에 중대한 전환점을 가져올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규제의 명확성은 투자자 보호와 자금 유입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소이기 때문이다. 제닝스는 "명확하고 일관된 규제가 시장의 신뢰를 크게 강화하고 있으며, 이는 유럽과 영국의 상대적으로 느린 정책 진행 속도에 비해 미국이 선도할 수 있는 결정적인 이유"라고 언급했다.
결과적으로 미국의 최근 행보는 크립토 산업의 제도권 편입에 대한 의지를 뚜렷이 보여주며, 글로벌 투자 유치를 위한 정치적 기반 확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향후 가상자산 분야에서의 정책 경쟁은 단순한 규제 강화가 아니라 누가 더 빠르게 시장의 신뢰를 확보하느냐가 주요한 기준으로 자리 잡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이러한 흐름은 미국이 글로벌 크립토 생태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