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곤 공동창업자, 비자 결제 논란에 대한 실용적 접근 강조

홈 > 투자정보 > 코인뉴스
코인뉴스

폴리곤 공동창업자, 비자 결제 논란에 대한 실용적 접근 강조

코인개미 0 8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870_8121.png


폴리곤(MATIC)의 공동 창업자인 미하일로 블리릭(Mihailo Bjelic)이 비자(Visa)가 암호화폐 생태계에 참여하면서 발생한 논란에 대해 발언했다. 그는 최근 소셜 미디어 플랫폼 X를 통해 비자에 대한 단순한 비난보다 균형 잡힌 실용적인 시각을 강조했다. 이러한 논란은 이더리움(ETH)의 창시자인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 비자가 결제 과정에서 수수료를 과도하게 공제하는 구조를 ‘수탈적’이라고 비판하면서 촉발되었다. 그러나 블리릭은 이를 반박하며, "비자의 행위는 시장에서의 강력한 지위를 활용한 경쟁력 있는 행동일 뿐, 억압으로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문제의 중심에는 일부 성인 게임 콘텐츠가 비자를 결제 수단에서 제외하려는 우려로 콘텐츠를 자발적으로 삭제한 사건이 있다. 블리릭은 이 조치를 “플랫폼들이 규제 리스크를 피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시행한 자기 검열”이라고 설명하며, 이를 억압적이라고 해석하는 것은 과도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범죄를 묘사한 게임에 대한 결제 연동을 거부한 것이 암호화폐 생태계에 해를 끼친다고 보기는 어렵다”라고 덧붙였다.

블리릭의 발언은 비자와 암호화폐 산업 간의 긴장 관계를 재조명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일부에서는 단일 결제 기업이 콘텐츠 정책을 좌우할 가능성을 우려하며, 암호화폐가 추구하는 탈중앙화 철학과 충돌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최근 비자는 암호화폐 지갑 기업 탕겜(Tangem)과의 제휴를 통해 하드웨어 지갑과 비자 신용카드 결제를 결합한 상품을 출시하며, 암호자산과 법정화폐 간의 경계를 허물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시장에서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기존 금융과의 관계가 더욱 깊어질 수 있다는 두려움도 함께 나타나고 있다.

블리릭은 암호화폐와 기존 금융 기관 간의 관계를 다시 정의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하며, 기술 발전과 시장 확장은 반드시 윤리성과 법적 기준에 따라 조정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단순한 비난보다는 실용적이고 건설적인 접근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그의 주장은 암호화폐 커뮤니티 내에서 설득력을 얻고 있다. 다채로운 논의가 진행되는 이 시점에서, 블리릭의 발언이 암호화폐와 전통 금융 시스템 간의 균형을 재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