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인링크(LINK), 2주 만에 50% 상승하며 RWA 시장의 주도적 역할 강화

체인링크(LINK)가 지난 2주 동안 50% 이상 급등하며 실물자산(RWA) 토큰화 시장에서 핵심 주도주로 부각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몇 년간 수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보이는 RWA 시장에서 체인링크가 필수적인 인프라 역할을 맡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암호화폐 애널리스트인 마일스 도이처(Miles Deutscher)는 “이번 사이클에서 체인링크는 가장 분명한 대형 코인 매수 기회”라며 “많은 투자자들은 그 단순함 속에 숨겨진 잠재력을 간과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체인링크가 기관 자본 유입, 스테이블코인 증가, RWA 확산 등 시장 구조의 변화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현재 실물자산 토큰화 시장 규모는 약 250억 달러에 달하며, 이 시장은 빠르게 성장 세를 이어가고 있다. 미국 정부도 이런 흐름에 주목하고 있으며, 도이처는 “블랙록과 같은 대형 기관 투자자들이 기존 금융 인프라의 한계를 깨닫고 토큰화 솔루션으로 시선을 돌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스트라이프, 서클 등 글로벌 기업들이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 중인 상황이 웹3 기술의 대규모 채택을 보여주는 중요한 신호로 분석되고 있다.
체인링크의 경쟁력은 더욱 확고하다. 이더리움 기반에서 오라클 시장 점유율이 84%, 전체 디파이 생태계에서는 68%에 이르러 체인링크가 가격 정보 제공의 ‘기준’ 역할을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전문가들은 “분산된 멀티체인 생태계에서는 정보를 연결하는 '유니버설 트랜슬레이터'가 필수이며, 체인링크가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도이처는 또 체인링크의 경제 모델이 '채택 → 매수 압력 → 추가 공급 유입'이라는 플라이휠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그는 “전통 금융과 디파이 모두에서 체인링크의 채택이 증가할수록 LINK 토큰은 시스템 내에서 더욱 많이 소모된다”고 강조했다.
현재 LINK는 24달러에 도달했으며, 이로 인해 2주 전과 비교해 50% 이상의 성장을 기록했다. 온체인 분석업체인 샌티먼트는 최근 8개월 만에 가장 활발한 주소 활동과 7개월 간의 최대 고래 거래량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일부 분석가는 LINK 가격이 장기적으로 세 자릿수까지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으나, 여전히 2021년 기록한 사상 최고가인 52.70달러에 비해 55% 낮은 수치이다.
전문가들은 “각 시장마다 성공적인 레이어1 블록체인이나 RWA 디앱이 있을 수 있지만, 그 기반에서 커다란 역할을 하는 인프라는 체인링크 하나일 것”이라며, 체인링크를 ‘스마트 오라클 시대의 필수 벤처’로 재조명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