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311조 원 규모의 지갑 분실! 복구 사기 경고

2025년에도 많은 암호화폐 이용자들이 지갑의 비밀번호와 시드 문구를 잊어버리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기술이 발전하더라도, 정보 보관에 대한 기본적인 부주의로 인해 수백억 원에 달하는 자산이 영구히 사라지는 일이 여전하다. 레저(Ledger) 분석팀의 보고에 따르면, 2025년 초 현재 비트코인(BTC) 중 약 230만 개에서 370만 개가 복구 불가능한 상태로 추정되며, 이는 현재 시세로 약 1,400억 달러에서 2,240억 달러(약 194조 6,000억 원에서 311조 3,600억 원)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또한, 미국 연방수사국(FBI)에서는 2024년 한 해 동안 암호화폐 투자 사기로 인해 발생한 손실이 93억 달러(약 12조 9,270억 원)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특히 고령층이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았으며, 자산을 되찾으려 하다가 사기성 복구 서비스에 속아 2차 피해를 입는 사례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지갑 복구는 지갑의 유형에 따라 접근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 본인이 지갑이 커스터디얼(수탁형)인지 논커스터디얼(비수탁형)인지 구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커스터디얼 지갑은 바이낸스, 크라켄, 코인베이스와 같은 거래소 기반 지갑으로, 비밀번호를 잃어도 이메일 인증이나 본인 확인(KYC) 절차를 통해 상대적으로 쉽게 복구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랫폼은 사용자의 개인 키를 보관하고 있어, 이용자가 다시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반면, 메타마스크(MetaMask), 트러스트 월렛(Trust Wallet), 레저(Ledger) 등의 비수탁형 지갑은 사용자가 스스로 시드 문구와 비밀번호를 관리해야 한다. 이 경우, 둘 중 하나라도 잃어버리면 자산 복구의 가능성이 낮아지며, 둘 다 상실하면 대부분의 경우 자산에 접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물리적 백업이나 오프라인 보관을 철저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
암호화폐 지갑 복구를 지원한다고 주장하는 '복구 업체'들의 사기 또한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일부 업체는 선불 요금을 요구하거나, 전문성을 입증할 서류 없이 개인 정보를 요구하는 방법으로 피해자를 유인하고 있다. 따라서 공식적인 업체를 선택하고 실제 사례와 신원 문서를 투명하게 공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움이 필요한 상황에서도 차분함을 잃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ETH) 등과 같은 고가의 디지털 자산을 관리할 때는 신뢰할 수 있는 공식 경로를 통해 대처하는 것이 안전하다. 모든 상황에 맞는 복구 방법은 없겠지만,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구조적으로 대응한다면 자산을 되찾을 기회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