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위안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검토…홍콩을 거점으로 달러 패권에 도전

중국 정부가 위안화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검토 중인 것으로 보인다. 이는 그간 디지털 위안화를 중심으로 한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CBDC) 정책을 유지해 온 중국이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진출할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특히, 홍콩과 상하이를 기반으로 시범 운영을 추진할 계획을 세우고 있어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과거에 비해 암호화폐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취해온 중국의 변화는 시장에서 큰 관심을 끌고 있다.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의 마틴 초르젬파 선임연구원과 블록체인 인텔리전스 기업 체인아르고스의 패트릭 탄 최고경영자는 코인데스크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의 스테이블코인 접근에 대한 전략적 배경을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하이킹이 글로벌 금융 전략의 중요한 변곡점이 될 수 있다고 평가한다.
마틴 초르젬파는 "중국이 디지털 위안화에 집중하던 기존 정책에서, 국제 금융 허브인 홍콩을 통해 스테이블코인을 실험함으로써 자금 세탁 및 제재 우회와 같은 민감한 이슈를 피하면서 동시에 달러 패권에 대한 장기적인 대응 카드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자본 흐름의 규제를 완화할 수 있는 기회로도 해석된다.
체인아르고스의 패트릭 탄은 "중국이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본격화한다면, 이는 자본 통제로부터 자유로운 홍콩의 독립적 금융 시스템과 본토 간의 균형을 정교하게 조정하는 정치적 실험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블록체인 기술의 확산과 아시아 내 암호화폐 규제 환경의 유연한 변화가 이러한 정책 변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중국산 스테이블코인이 등장할 경우 기존의 미국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계기가 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미국과의 금융 주도권 경쟁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여전히 공식적인 일정이나 기술적 세부 사항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홍콩에서의 시범 운영은 외부 개방성과 신흥 금융 기술 실험을 위한 최적의 장소로 간주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중국의 위안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검토는 디지털 화폐와 관련된 글로벌 금융 구조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올 요소가 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중국의 스테이블코인 기반 정책이 시장에 미치는 파장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