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M0, 4,000만 달러 투자 유치…커스터마이즈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구축

암호화폐 기반 인프라 스타트업 M0가 애플리케이션 특화형 스테이블코인 생태계를 확장하기 위해 4,000만 달러(약 576억 원)의 시리즈 B 투자를 성공적으로 유치했다. 이 투자에는 폴리체인 캐피털, 리빗 캐피털, 언데버 캐털리스트가 주요 투자자로 참여했으며, 로드 캐피털, 판테라, 베인 캐피털 크립토 같은 기존 투자자들도 함께했다. 이번 라운드를 통해 M0의 누적 투자금은 총 1억 달러(약 1,440억 원)에 이르게 됐다.
M0는 2023년에 설립되어, 개발자들이 중앙화된 발행기관 없이도 안정적인 디지털 통화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새로운 형태의 스테이블코인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부분의 스테이블코인은 미국 달러에 고정되어 시세 변동을 최소화하고, 법정화폐나 미국 국채 등의 실물 자산을 통해 그 가치를 담보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그러나 전통적인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는 테더나 서클 같은 몇몇 대기업만이 이러한 역할을 수행해왔으며, M0는 이와 같은 구조적 한계를 해결하여 개발자들에게 더 큰 유연성과 주도권을 부여하고자 한다.
M0의 핵심 혁신은 '준비금 관리'와 '프로그래밍 가능성'을 분리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개발자들은 기존 스테이블코인 생태계에 단순히 앱을 추가하는 것에서 나아가, 자신의 사업 특성에 맞는 디지털 화폐를 설계하고 이를 통제할 수 있게 된다. M0의 공동 창립자이자 CEO인 루카 프로스페리(Luca Prosperi)는 “핀테크 개발자들이 자신의 디지털 달러 인프라를 직접 소유하고 통제해야 한다”며, 현재의 스테이블코인 기술이 그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리빗 캐피털의 파트너 잭 로젠(Zack Rosen) 또한 “개발자들은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단순한 접근을 넘어, 그것이 어떻게 작동하고 누구에 의해 통제되며 실제로 어떤 가치를 창출하는지를 영향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M0는 기존의 정형화된 솔루션이 아닌 커스터마이즈된 통화 제작이 가능한 인프라를 제공함으로써 차별화되고 있다.
현재 M0의 플랫폼은 범위가 넓은 파트너와 협력하고 있으며, 암호화폐 지갑인 메타마스크를 제공하는 콘센시스, 앱 특화 블록체인인 노블, 스테이블코인 프로토콜인 유주얼랩스, 게임 플랫폼인 플레이트론 등과 함께 실제 디지털 화폐 실험 및 운영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활동들은 M0 생태계의 확장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M0가 제안하는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패러다임은 전통적인 블록체인에서 나타나는 중앙화 문제와 기술적 한계를 동시에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로 해석된다. 특히 금융 기술에 정통한 스타트업이나 글로벌 핀테크 기업들은 복합적이고 구체적인 통화 정책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훨씬 더 자유로운 대안을 제시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