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상승세, 일본 메타플래닛의 토요타 제치기 가능성 제기

비트코인이 사상 최고가인 12만 6,198달러를 기록하며 다시금 글로벌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상승세를 바탕으로 일본의 상장사 메타플래닛(Metaplanet)이 토요타를 제치고 일본의 최고 기업으로 도약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암호화폐 전문가 애덤 리빙스턴은 최근 보고서에서 메타플래닛이 2027년까지 비트코인 21만 개를 확보할 경우, 2030년 경에는 시가총액 기준으로 토요타를 초과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그는 메타플래닛이 비트코인 시장의 급성장세를 활용해 전략적으로 자산을 축적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리빙스턴은 비트코인의 가격이 2030년까지 개당 100만 달러까지 상승할 것이라는 예측을 바탕으로, 메타플래닛이 21만 BTC를 보유할 경우 최소 2,100억 달러 상당의 자산 가치를 기록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시장 프리미엄을 감안할 경우, 총 기업 가치는 약 3,150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을 덧붙였다.
그는 토요타가 연평균 5~8%의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메타플래닛이 이를 초과할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예측은 비트코인 가치 상승 및 ETF 기반 기관 자산 유입에 대한 현실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더불어 업계의 낙관론도 확산되고 있는데, 50T 펀드의 창립자인 댄 타피에로는 비트코인이 기관 자산으로 자리 잡는다면, 장기적으로 가격이 100만 달러에 이를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블랙록의 비트코인 ETF인 IBIT는 최근 하루 만에 약 10억 달러의 신규 자금을 유치하며 기관의 수요 증가를 입증했다. 애덤 리빙스턴은 메타플래닛의 비트코인 매입이 2027년 이후에도 계속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으며, 더 빠른 시기에 토요타를 초과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나타냈다. 그는 제시된 시나리오가 비교적 보수적인 전개라며, 비트코인 매입과 시장 성장성을 감안하면 더 빠른 변화가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또한, 메타플래닛과 토요타의 성장은 비트코인의 글로벌 수용도가 증가함에 따라 더욱 가시화될 것이다. 금융 기관과 중앙은행이 비트코인을 외환보유액 및 전략 자산으로 인정하는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비트코인의 '디지털 금'으로서의 입지가 더욱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미래 전망이 다소 억지스럽게 느껴질 수 있지만, 현재의 시장 분위기와 기관 자금 흐름을 감안할 때 메타플래닛과 같은 선제적인 전략을 가진 기업이 전통적인 제조업체인 토요타를 넘어서게 될 가능성은 결코 허황된 이야기가 아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러한 변화가 가까운 미래에 실현될 수 있음을 예측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