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P 현물 ETF 승인 기대감 고조…그레이스케일 등 신청서 수정 진행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XRP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승인 여부를 검토하면서 시장의 기대감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여러 대형 발행사들이 신청서(S-1 양식)의 개정을 통해 승인 절차를 빠르게 진행하고 있으며, 이들 중 그레이스케일(Grayscale), 21셰어스(21Shares), 비트와이즈(Bitwise), 캐너리 캐피탈(Canary Capital), 위즈덤트리(WisdomTree), 코인셰어스(CoinShares) 등 여섯 개의 업체가 각각의 XRP ETF를 신청한 상황이다. 현재 이들 ETF의 제출 서류가 최근 수정됨에 따라, 업계에서는 SEC의 본격적인 검토가 시작됐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보고 있다.
특히 디지털 자산 투자전문가인 네이트 제라시(Nate Geraci)는 "S-1 개정서에 티커를 포함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며, 이는 ETF 승인임박을 암시하는 중요한 신호"라고 말했다. 이처럼 그레이스케일은 티커 이름을 'GXRP'로 변경하며 ETF 출시에 대한 준비를 더욱 구체화하고 있다. 그러나 SEC의 승인 절차는 여전히 많은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 10월 초 미국 정부의 셧다운으로 인해 SEC는 ETF 관련 일정의 일부를 처리하지 못했고, 서류 검토 역시 지연되고 있다.
크립토 전문 기자인 엘리너 테릿(Eleanor Terrett)은 "SEC가 최소 인력으로 운영되면서 ETF 승인 일정이 공식적으로 지연됐고, S-1 서류에 대한 최종 서명도 지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SEC가 공용 상장 기준의 표준화를 추진하면서, 19b-4 신청서를 모두 자진 철회하라는 요구도 승인 지연의 또 다른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XRP 현물 ETF는 1933년 증권법에 의해 원자재 신탁(Commodity Trust)으로 분류됨에 따라, SEC의 직접적인 S-1 승인이 없으면 거래가 불가능하다. 이로 인해 현재 접수된 ETF는 정부 운영이 정상화된 이후에야 본격적으로 상장될 가능성이 높다.
XRP ETF가 비트코인(BTC) ETF에 이어 또 하나의 게임 체인저로 평가받고 있으며, 만약 이 ETF가 승인될 경우 XRP에 대한 제도권 수요의 확대와 거래소 내 유통량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정황 때문에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SEC의 행보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10월 중 승인 발표 여부를 주의 깊게 지켜보고 있다. 승인 여부에 따라 암호화폐 시장의 향방이 달라질 수 있는 중요한 시점이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