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XRP), 2025년 9월 성과와 혁신으로 성장 이어가

리플(XRP) 생태계는 2025년 9월, 기술적 발전과 규제 대응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이달 동안, 디파이(DeFi), 게임, 커뮤니티 중심의 프로젝트들이 활발하게 진행되며 광범위한 인프라가 구축되었다.
특히 XRPL(리플 원장)의 사용자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점이 주목할 만하다. 조이 월렛은 문페이(MoonPay), 퍼스트 레저(First Ledger), XRP카페와의 통합을 통해 신규 사용자들의 온보딩 과정이 한층 간소화되었다. XRPScan은 ‘토큰 에스크로’ 제안 등을 통해 검증자 투명성 강화를 위한 새로운 투표 일정 기능을 도입했다. 자먼 월렛은 4.2.1 버전을 출시하며 토큰 전송 시 필요하던 트러스트라인 요구 사항을 제거하고, 문페이 셀(MoonPay Sell) 기능을 통해 앱 내에서 환전과 XRP 구매 및 판매를 가능하게 했다.
또한 규제 준수 측면에서도 중요한 진전을 이루었다. ‘Credentials’ 개정안이 본격 시행되며, 온체인 상에서의 탈중앙 신원 인증 기회가 확대되었다. 리플 엔지니어인 케니 레이는 이 기능이 사용자와 기관 간의 규제 기반 상호작용을 지원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체이널리시스는 XRPL 내 모든 토큰에 대한 모니터링 범위를 확장하여 IOU 및 NFT도 포함하도록 했다.
게임과 디파이 분야에서도 혁신이 있었다. XRPL 커먼즈는 B3와 피어서스트와 협력하여 XRPL EVM 사이드체인 기반 게임 플랫폼 '게임체인(Gamechain)'의 테스트넷을 출시했으며, 디파이 혁신을 위한 '아쿠아리움 레지던시' 7기 프로그램도 시작되었다. 이 프로그램에는 11개국의 개발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리플의 커뮤니티 공헌 또한 두드러진다. 중소기업과 참전 군인을 지원하기 위해 리플은 2,500만 달러(약 347억 원) 상당의 RLUSD를 기부했다. 또한 리플X는 새로운 기관용 디파이 로드맵을 발표하고, XRPL의 기관 채택 확장을 위한 대출 및 프라이빗 트랜잭션 기능을 포함시켰다.
기술적 업데이트는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퍼스트 레저는 토큰 프로젝트 보상을 위한 ‘크리에이터 리워드 프로그램’을 개편하여, 1 티어 기준을 10만 XRP에서 5만 XRP로 하향 조정했다. 아노도스는 XRPL과 외부 네트워크 간 연동을 지원하는 인앱 브릿지를 출시했고, XRPL Commons는 기여자 후기 보상을 위한 ‘GLOW’ 이니셔티브를 소개했다.
한편, 커뮤니티 내에서는 XRPL의 기반 소프트웨어 명칭을 'rippled'에서 'xrpld'로 변경하자는 의견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으며, 렌딩 구조 및 허가형 DEX 시스템에 대한 심층적인 스레드도 공유되고 있다.
이 모든 활동은 9월 말 개최된 ‘XRP 서울 2025’에서 정점을 찍었다. 이 행사에서는 40개국 이상에서 3,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참석하여 XRP 생태계의 최신 기술과 기회를 논의하며 국제적인 관심을 더욱 증명했다. 리플(XRP) 생태계는 기술, 규제, 커뮤니티의 모든 측면에서 균형 잡힌 발전을 추구하며, 2025년 가을에도 강력한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