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 비트코인 보유량 390만 BTC로 증가, 새로운 변동 상황

홈 > 투자정보 > 코인뉴스
코인뉴스

기관 비트코인 보유량 390만 BTC로 증가, 새로운 변동 상황

코인개미 0 4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870_8121.png


10월 13일 기준,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비트코인 총량은 390만 BTC에 달하며, 이는 약 4504억 달러(약 643조 원) 규모로 나타났다. 지난 30일간 이 보유량은 5.34% 증가하였으며, 기관 수는 19곳 늘어나 총 346곳에 이르렀다.

보유 주체를 살펴보면, 상장 기업은 203곳에서 총 104만5353 BTC를 보유하고 있다. 정부는 13곳에서 각각 51만5888 BTC를, 사기업은 66곳에서 27만9174 BTC를 보유하고 있다. ETF 및 기타 펀드에서는 44곳이 153만3755 BTC를 보유하고 있으며, 거래소 및 커스터디를 포함한 분야에서는 4곳이 15만5707 BTC를 보유하고 있다. 디파이 및 스마트컨트랙트 영역에서는 16곳이 37만4812 BTC를 보유하고 있다.

상장 기업 중에서는 스트래티지(MSTR)가 비트코인 공급량의 3.048%에 해당하는 64만31 BTC를 보유하며 최대 보유 기관으로 자리하고 있다. 지난달 중 5차례 비트코인을 매입했지만, 이번 달에는 별다른 추가 매입은 없는 상황이다. 메타플래닛은 지난달 22일과 이달 1일에 각각 5268 BTC를 추가 매입하며 4위로 상승하였다.

국내 역시 4개의 상장사가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 이들 중 파라택시스코리아가 지난달 30일 50 BTC를 추가 매입하면서 보유량을 두 배로 늘렸다. 비트맥스는 551 BTC, 위메이드 223 BTC, 네오위즈홀딩스 123 BTC를 보유하고 있다.

사기업 섹터에서는 블록원과 테더 홀딩스가 각각 16만4000 BTC와 8만7475 BTC를 보유하고 있으며, 스페이스X와 테조스 재단도 나름의 보유량을 기록하고 있다. 부문 내 순위 변화가 있으며, 아발론 랩스는 디파이 부문으로 재분류되었고, 브라질의 오렌지BTC는 현지 B3 거래소에 상장되면서 순위에서 제외되었다.

정부 보유량은 총 51만5888 BTC에 달하는데, 북한의 대량 매도 이후 부탄이 순위에 올라섰으나, 이달 1일에 보유량이 줄어들었다. 반면, 아랍에미리트는 보유량을 증가시켜 5위로 올라섰다.

ETF 및 거래소 부문에서는 블랙록의 비트코인 현물 ETF인 IBIT가 79만8747 BTC를 보유하여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밖에도 그레이스케일 및 피델리티의 ETF들이 각각 17만7952 BTC와 20만7151 BTC를 보유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디파이 및 스마트컨트랙트 부문에서도 주요 변화가 있으며, 새로운 비트코인 보유 체계가 확립되고 있다. BTCB가 최근 신규 비트코인을 확보하며 2위로 올라선 반면, cbBTC는 보유량이 줄어들며 3위로 밀려났다.

전 세계의 비트코인 보유 현황을 살펴볼 때, 기관과 정부의 지속적인 보유량 증가가 유통 물량을 감소시키고, 시장 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정부의 보유 확대는 비트코인이 제도권에 편입될 가능성도 높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비트코인 시장의 전반적인 안정성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