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상반기 암호화폐 해킹 피해액 24억 달러…역대 최악의 수치 기록

2025년 상반기 동안 암호화폐 해킹으로 인한 피해액이 24억 달러에 달하며, 이는 암호화폐 보안 역사상 가장 큰 규모로 기록되고 있다. 보안업체들의 집계에 따르면, 2025년 1월부터 6월까지의 피해액은 약 3조 3,360억 원에 이르며, 이는 전체 2024년 피해액을 이미 초과한 수치다. 단 6개월 만에 이러한 기록을 경신한 것은 암호화폐 사용자의 경각심을 요구하는 신호로 볼 수 있다.
이번 상반기 동안 발생한 보안 사고는 총 300건이 넘으며, 특히 북한 해커 조직이 연루된 바이비트(Bybit) 해킹 사건이 전체 피해액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대형 해킹 사건에 집중하는 경향은 다른 여러 보안 취약점들이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을 간과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스럽다. 실제로 바이비트 해킹 이외에도 일상적인 보안 취약점들이 독립적으로 상당한 피해를 초래하고 있는 점이 이번 보고서의 주요 포인트 중 하나이다.
가장 흔한 공격 유형으로는 피싱, 악성 서명, 그리고 사칭 계정을 활용한 가짜 고객센터 유도가 있다. 이와 같은 소규모 공격들이 대규모 사이버 공격과 비교해 더 큰 피해를 누적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사용자 한 명이 의심 없이 클릭하거나 서명하는 단 한번의 행동이 수억 원의 자산 손실로 이어지는 사례는 이제 낯선 일도 아니다. 이러한 상황은 암호화폐 사용자의 보안 습관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금 각인시킨다.
보안 전문가들은 이러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몇 가지 간단한 조치를 권장하고 있다. 강력한 2단계 인증(2FA) 활성화, 서명 전 내용의 철저한 확인, 핫월렛과 콜드월렛의 효과적인 분리, 그리고 악성코드 감염 가능성이 적은 청정 기기 사용 등이 그 예다. 아울러 사고 발생 시 즉시 복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 권한을 즉시 철회할 수 있는 도구나, 피해 신고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확보는 사전 예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2025년 상반기의 이러한 수치는 분명 사용자들에게 강력한 경고 신호로 작용할 것이다. 해킹은 피할 수 없는 운명이 아니라, 충분히 대비할 수 있는 위협이다. 사용자의 일상적인 보안 습관이 강화된다면, 이는 암호화폐 시장에서 가장 실질적인 방어선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올해 남은 기간 동안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는 철저한 보안 점검과 대책이 무엇보다 절실히 요구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