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코인, 최고가 대비 90% 하락 후 소폭 반등…구조적 문제 상존

파이코인(PI)은 2025년 10월 13일에 5.5% 상승하여 0.215달러(약 285원)까지 올랐으나 이후 8.7% 하락하며 0.2101달러(약 278원)에서 거래되고 있다. 최근 미중 무역 갈등의 영향을 받아 암호화폐 시장 전반이 하락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파이코인은 0.15달러(약 199원) 이상의 지지선을 지키며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2025년 2월에 기록한 3달러(약 3,980원)의 최고가와 비교하면 여전히 약 90% 하락한 상태이다.
현재 파이코인의 24시간 기준 거래량은 약 5천만 달러(약 664억 원)로, 시장에서의 수요가 낮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술적 지표에서도 혼합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 일간 차트에서는 상대강도지수(RSI)가 28로 과매도 구간에 진입했으며, 이동평균수렴발산(MACD) 지표는 상승 교차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더욱이 12시간 차트에서 론은 상승하는 RSI 다이버전스가 관측되며, 하락 압력이 점차 약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시장 분석가들은 주요 저항선을 0.2755달러(약 366원), 중요한 지지선을 0.2000달러(약 266원)과 0.1731달러(약 230원)로 설정하고 있다. 만약 파이코인이 0.205달러(약 272원)를 돌파하면 18% 상승하여 0.238달러(약 316원)까지 상승할 수 있으며, 추가 상승 시 0.264달러(약 351원)와 0.290달러(약 385원)까지의 여지도 있다. 그러나 0.184달러(약 243원) 이하로 하락할 경우 이러한 상승 예측은 무효화되며, 가격은 0.153달러(약 203원) 수준까지 떨어질 수 있다.
공급 측면에서, 2025년 10월 동안 약 1억 2,600만 개의 토큰이 해제될 예정이며, 앞으로 12개월 안에 총 12억 개의 추가 토큰이 유통될 계획이다. 현재 중앙화 거래소에 있는 파이코인의 보유 물량은 4억 1,700만 개 이상으로, 이는 유동성 과다와 매도 압력에 대한 우려를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또한, 파이코인은 아직 바이낸스와 코인베이스와 같은 주요 글로벌 거래소에 상장되지 않았으며, 이런 유동성 부족이 거래 접근성과 대중적 채택에 제한을 가져오고 있다. 현재는 OKX, Bitget, MEXC 등 중소형 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2025년 2월 오픈된 메인넷을 통해 외부 지갑으로의 전송이 가능해진 이후 결정된 사항이다.
향후 생태계 확장과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계획도 진행 중이다. 2025년에 개최될 해커톤과 글로벌 컨센서스 가치(GCV) 컨퍼런스는 디앱(dApp) 개발을 촉진하고 네트워크의 유틸리티를 확장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장기적인 성공을 위해 투명성 강화와 디앱 생태계의 활용성 증대, 그리고 토큰 발행 및 분배에 대한 철저한 통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미래의 가격 전망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상반되고 있다.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업체인 코인코덱스(CoinCodex)의 분석에 따르면, 파이코인은 2025년 5월까지 227% 상승하여 2.02달러(약 2,678원)에 이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는 거래소의 추가 상장과 사용자 기반의 확대를 전제로 한 것이다. 반면, 더 비관적인 시각을 가진 일부 분석가는 중요한 지지선이 붕괴될 경우 0.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