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직 비자 수수료 인상, 미국 내 기술 기업들의 불안 확산"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최근 발표로 전문직 비자(H-1B)의 수수료가 1인당 10만 달러로 급등하며, 주요 기술 기업들이 H-1B 비자 소지 직원들에게 미국에 머물 것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블룸버그통신이 21일 보도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아마존 등의 기업들은 이러한 비자 규정을 바탕으로 직원들에게 미국 복귀와 출국 계획 취소를 요청하는 이메일을 발송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19일 새로운 비자 규정을 발표했으며, 이 규정이 적용되기 전에 직원들이 미국으로 돌아오도록 권고하는 배경은 불확실한 상황 때문이다. 발표 이후 백악관은 인상된 수수료가 신규 비자에만 적용되며 기존 비자 소지자의 출입국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설명했으나, 이러한 설명에도 불구하고 기업들과 비자 소지자들 사이에는 혼란과 불안이 가중되고 있는 상태다.
MS는 비자 소지자들에게 "당분간 미국 내에 체류해야 한다" 고 안내하며, 향후 입국장에서의 혼선을 알렸다. 특히, 현재 해외에 체류 중인 직원들은 추가 정보를 기다리라는 말을 듣고 귀국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예를 들어, 샌프란시스코로 이주해 새 직장을 시작하려던 34세의 로런스는 이미 이주 절차를 마쳤음에도 불구하고 이민 변호사로부터 영국에 남아있으라는 지침을 받았다고 전했다. 다른 구글 직원 역시 가족 방문을 위한 도쿄 여행을 취소했다.
아마존은 H-1B 비자 소지자의 배우자와 자녀에게 발급되는 H-4 비자 보유자들에게도 미국에 남아 있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는 기업들이 비자 소지자와 그 가족의 이동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더욱 주의 깊게 대처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미국 이민국(USCIS)의 데이터에 따르면 2025 회계연도로 들어간 후, 아마존이 가장 많은 H-1B 비자를 할당받아 1만 44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뒤로 인도 뭄바이에 본사를 둔 IT 서비스와 컨설팅 기업 타타 컨설턴시가 5505명, MS가 5189명, 그리고 메타, 애플, 구글 등이 각각 5123명, 4202명, 4181명으로 뒤를 이었다.
이번 비자 수수료 인상과 규정 변경은 미국 내 기술 기업들의 인력 유동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이는 향후 미국의 이민 정책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기술 기업들은 글로벌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 더욱 단호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에 직면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