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커리부르스트 원조 논쟁, 1936년 뒤스부르크 주장 등장"

홈 > 투자정보 > 해외뉴스
해외뉴스

"독일 커리부르스트 원조 논쟁, 1936년 뒤스부르크 주장 등장"

코인개미 0 21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099_0446.png


독일의 인기 길거리 음식인 커리부르스트의 기원에 대한 논쟁이 최근 뜨거운 이슈로 떠올랐다. 독일 서부 도시인 뒤스부르크의 죄렌 링크 시장은 '페터 힐데브란트가 1936년 뒤스부르크에서 커리부르스트를 발명했다'는 내용이 적힌 동판을 한 분식집에 설치했다. 이는 전후 베를린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던 커리부르스트의 기원에 대한 새로운 주장을 제기하는 것이다.

공식적으로 커리부르스트는 소시지 위에 토마토 소스를 뿌리고 카레 가루를 추가한 음식으로, 제2차 세계대전 직후인 1949년 베를린에서 헤르타 호이버가 최초로 만들어 판매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호이버는 종전 후 영국 점령군으로부터 카레 가루를 구입해 소스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녀는 1959년에 커리부르스트 소스를 특허 등록했으며, 베를린 시는 2019년 해당 음식의 발명 70주년을 기념하여 기념주화를 발행했다.

그러나 뒤스부르크의 주장이 나오면서 논란은 더욱 증폭됐다. 링크 시장은 "커리부르스트는 사실 루르 지역과 뒤스부르크에 최적화된 진정한 지역 음식"이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발표된 연구 서적은 힐데브란트가 1936년 소시지에 토마토 소스와 영국식 카레 향신료를 뿌려 직원들에게 제공한 것이 커리부르스트의 시작이라는 주장을 담고 있다. 이 저자인 그레고어 라우엔부르거는 "그 소시지는 적국의 카레로 양념된 것"이라며 당시의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이 사실이 비밀로 유지되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라우엔부르거는 힐데브란트가 1935년 함부르크에서 영국산 카레를 구입한 영수증을 증거로 제시했다. 그는 "베를린에서 커리부르스트는 결국 13년 지나 재발명된 것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무역과 경제가 회복되던 전후 독일에서 커리부르스트는 노동자들이 즐겨 찾는 음식으로 자리 잡았으며, 이는 독일 경제 기적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커리부르스트 박물관의 자료에 따르면, 전후 베를린에서 판매되는 커리부르스트는 매년 약 7000만 인분에 이르며, 독일 전역에서는 연간 8억 인분이 팔린다고 한다. 커리부르스트는 단지 한 가지 음식이 아니라, 독일 문화와 역사에 깊이 뿌리내린 상징이기도 한 셈이다. 이번 논쟁은 독일 사회 내에서 음식의 기원 및 정체성을 둘러싼 흥미로운 대화를 촉발시키고 있으며, 다양한 새로운 연구 결과와 의견들이 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