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에너지부 장관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한국과 일본 기업과 협의 중"

크리스 라이트 미국 에너지부 장관은 알래스카에서 진행 중인 액화천연가스(LNG) 송유관 건설 사업에 대해 한국 기업들과의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24일 뉴욕 외신센터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밝혔다. 라이트 장관은 프로젝트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향후 12개월 이내에 착공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건설에는 몇 년이 걸리겠지만, 동아시아의 일본과 같은 뛰어난 동맹국과의 선박 운송 거리가 비교적 짧다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큰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알래스카에서는 프루도베이 가스전에서 추출된 천연가스를 앵커리지 인근 부두까지 송유관을 통해 운반 후 액화하여 아시아 시장에 수출하는 계획이 포함되어 있다. 이번 프로젝트에 필요한 초기 자본은 약 450억 달러, 즉 약 64조 원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알래스카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807마일(약 1,297km) 구간에 파이프라인을 설치하고 액화 터미널 같은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라이트 장관은 과거 50년간 알래스카 북부에서 석유 수출을 위해 건설된 파이프라인과 비교하여, 이번 가스 파이프라인 건설이 더욱 수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이미 존재하는 도로, 지원 시설, 파이프라인 경로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는 미국과 아시아 기업들이 혼합된 투자 구조가 될 것으로 예상하며, 미국 에너지부가 이 프로젝트에 대한 신용 지원을 제공할 가능성도 언급했다.
한국 기업 중 일부는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위한 검토를 시작했다고 전해졌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알래스카 가스라인 개발공사(AGDC)와 함께 민간 투자자로 참여하는 에너지 기업 글렌파른과 LNG 도입에 대한 예비 계약을 체결하면서 가장 먼저 공식적으로 프로젝트 참여를 검토하고 있다. 포스코 그룹사 중 포스코이앤씨 역시 국내외 LNG 터미널 건설 경험을 바탕으로 이 사업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미국 내 에너지 수급의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며, 아시아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한국과 일본의 기업들이 이러한 국제적 협력에 참여하게 되면, 동북아시아의 에너지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