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 "고용 시장 안정적…금리 인하 서두를 필요 없어"

오스틴 굴스비 미국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최근 고용 둔화를 지나치게 경기 침체의 신호로 해석하는 데 대해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24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고용 시장이 여전히 견조하고 안정적이며, 고용 통계는 단지 완만한 냉각을 보여줄 뿐이다"라고 밝혔다.
굴스비 총재는 금리 인하를 서두르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고 곧 사라질 것이라는 가정 하에 금리 인하를 서두르는 데는 불편함을 느낀다"고 전했다. 그는 많은 중서부 지역 기업들이 여전히 인플레이션이 통제되지 않았다는 점에 대한 우려를 가지고 있음을 언급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지난 17일 기준금리를 4.25~4.50%에서 4.00~4.25%로 0.25%포인트 인하하며, 9개월 만에 금리를 내린 바 있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은 그 배경에 대해 "고용의 하강 위험이 증가하면서 인플레이션 위험과 고용 위험 간 균형이 바뀌었다"며, 따라서 중립적인 정책 방향으로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굴스비 총재는 노동 통계 데이터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미국 경제가 급격히 둔화되고 있다는 신호는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의 실업률이 4.3%에 불과하고 노동 시장의 이직률 또한 긍정적인 상황이라고 설명하며,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 단속 영향이 반영된 비농업 부문 고용 데이터보다 더 유리한 이미지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인 것으로 판단하며, "인플레이션이 지난 4년 반 동안 Fed의 목표인 2%를 초과해왔으며, 현재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러한 발언들은 앞으로의 통화 정책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결론적으로, 굴스비 총재는 고용 시장이 안정적인 상황임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통화 완화를 서둘러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는 향후 경제 전망과 금리 정책 결정에 있어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