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정부 셧다운 우려에도 상승…다우지수 사상 최고치 경신

홈 > 투자정보 > 해외뉴스
해외뉴스

뉴욕증시, 정부 셧다운 우려에도 상승…다우지수 사상 최고치 경신

코인개미 0 17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099_0446.png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주요 지수가 30일(현지시간) 일제히 상승세로 마감했다. 연방정부의 셧다운 위험에도 불구하고 투자 심리가 크게 흔들리지 않으면서 다우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블루칩 중심의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81.82포인트(0.18%) 상승한 4만6397.89에 거래를 마감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27.25포인트(0.41%) 뛴 6688.46,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68.855포인트(0.31%) 오른 2만2660.009에 거래를 종료했다.

9월 한 달 동안 S&P500지수는 3% 넘게 상승했으며, 지난 5년간 9월 평균 4.2% 하락세를 고려하면 예상을 뛰어넘는 성과를 보였다. 다우지수는 같은 기간 2%, 나스닥지수는 5%가량 상승했다. 이날 주식시장은 장 초반 셧다운 우려로 약세를 보였으나, 투자자들은 대체로 불안감을 떨쳐내고 시장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현재 연방정부의 2025 회계연도가 종료되는 가운데, 의회가 임시 예산안 처리에 합의하지 못할 경우 10월 1일부터 셧다운이 발생하게 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셧다운 가능성과 관련해 "어떤 일도 불가피하지는 않지만, 셧다운 가능성이 높다"고 말하며 여야 지도부와의 회동에서도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전했다.

국내 언론에서도 보도를 통해 공화당과 민주당의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공화당 소속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셧다운 회피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이라고 전하며 민주당 지도부의 책임을 묻고 나섰다. 이에 민주당의 하킴 제프리스 원내대표는 "셧다운이 된다면 그건 그들의 결정"이라며 반박했다.

그러나 과거 사례를 바탕으로 보면 셧다운이 2주 이상 지속된 경우는 드물어 그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애덤 크리사풀리 바이털놀리지 설립자는 "시는 워싱턴에서의 셧다운을 널리 예상하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현재 시장을 관망하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상황이 2주 이상 지속되면 사람들이 우려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셧다운이 발생할 경우 미국 노동부 산하 노동통계국(BLS)의 운영이 중단되어 주요 경제 지표 발표도 지연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다음 달 3일 발표될 9월 고용보고서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결정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시장에서는 9월 비농업 신규 고용이 5만1000건 늘어나면서 실업률이 4.3%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9월 고용보고서 발표 연기가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페이브 파이낸스의 피터 코리 공동창업자는 "지난 8월 고용 2만2000명 증가 수치가 마이너스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며 "발표 지연이 시장에 우호적일 수 있다"고 내다봤다.

국채 금리와 관련해서는 보합권에서 엇갈리고 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10년물 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1bp 오른 4.15%를 기록하고,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금리는 1bp 내린 3.61%에서 움직여 시장의 불확실성을 반영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데이터센터 운영업체 코어위브가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와 최대 142억 달러 규모의 컴퓨팅 파워 공급 계약 체결 소식에 주가가 11.7% 상승하며 주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