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허리 통증', 단순한 통증이 아닐 수 있어…"무시하면 위험"

홈 > 투자정보 > 해외뉴스
해외뉴스

'만성 허리 통증', 단순한 통증이 아닐 수 있어…"무시하면 위험"

코인개미 0 10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099_0446.png


만성 허리 통증을 단순한 근골격계 문제로 치부해서는 안 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호주 시드니공과대학과 브라질의 미나스제라이스대 및 상파울루대의 연구진은 2019년 브라질 국가건강조사에 참여한 8만7678명의 성인을 분석한 결과, 만성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 중 62.1%가 심장 질환, 우울증, 관절염 등 여러 만성 질환을 동반하고 있음을 밝혀냈다.

특히 조사에 따르면, 전체 참가자의 21.6%가 만성 허리 통증을 겪고 있으며, 이 가운데 40.5%는 심혈관 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증이 없는 개인의 22.8%에 비해 17.7%포인트 높은 수치다. 관절염 및 류머티즘과 같은 다른 질환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확인되었다. 요통 환자의 19.3%가 관절염과 현실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고, 우울증 또한 19.3%로, 통증을 겪지 않는 사람보다 3배 가까이 높은 데이터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요통 환자 중 10.8%는 당뇨병을 앓고 있으며, 6.9%는 천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흥미롭게도 동반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경우 평균 연령이 통증이 없는 환자보다 12세 더 많고, 여성 비율이 20% 이상 높은 특징이 있었다. 특히 요통과 우울증을 동시에 겪는 환자 중 81.1%가 여성이었다.

이번 연구의 결과는 브라질에 국한된 것이지만, 독일, 호주, 미국 등 다른 선진국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관찰되고 있다. 연구진은 "경제적 상황에 관계없이 만성 요통은 심각한 건강 위기의 일부로 여겨져야 한다"며 그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현재의 임상 지침이 다중 질병을 별도로 고려하고 있지 않은 점을 지적하며, 심장병, 우울증, 관절염 등을 감안한 맞춤형 치료 전략의 필요성을 호소했다.

끝으로, 만성 허리 통증 환자는 다양한 질병을 동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료 가이드라인이 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이런 다차원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인식하지 않으면,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하지 못할 수 있음을 환기시키는 연구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