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조세이 탄광에서 조선인 희생자의 유골 발견

홈 > 투자정보 > 해외뉴스
해외뉴스

일본 조세이 탄광에서 조선인 희생자의 유골 발견

코인개미 0 18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099_0446.png


일본 야마구치현 조세이 탄광에서 1942년 발생한 수몰사고로 숨진 조선인 노동자 136명의 유골로 추정되는 유물이 발견됐다. 일본 시민단체 '조세이 탄광 수몰사고를 역사에 새기는 모임'은 25일 오후 2시, 조세이 탄광 사고 현장에서 진행된 수중 조사 중 대퇴부 뼈로 보이는 물체 여러 점을 수습했다고 밝혔다.

해당 물체는 총 3점이며, 가장 긴 것이 약 42㎝에 달한다. 한국의 잠수사는 방송에 출연하여 "근처에서 3켤레의 장화가 발견되었고, 4명분의 유골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이 단체는 지난해 9월부터 조세이 탄광에 대한 수중 조사를 시작했으나 그동안 찾지 못했던 유해를 이번에 처음으로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유물들은 신원 확인 등을 위해 경찰에 인계되었으며, 단체는 오는 26일에도 조사를 계속할 계획이다. 송종원 대한불교관음종 사무국장은 "한일 잠수부의 공동 조사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희생자의 유골을 발견하게 되어 기쁘다"며 "마치 사막에서 바늘을 찾는 것 같은 고난이 있었지만, 그렇게 어렵게 찾아낸 유골이라서 무척 놀랐다"고 말하며 소감을 밝혔다. 관음종은 30여 년 동안 일본에 흩어진 일제강점기 조선인 희생자의 유골 환국 사업을 추진해왔다.

조세이 탄광 참사는 1942년 2월 3일에 야마구치현 우베시 해안에서 약 1㎞ 떨어진 해저 지하 갱도에서 발생한 사고로, 갱도 누수로 인해 바닷물이 유입되어 조선인 136명과 일본인 47명 등 총 183명이 사망한 비극적인 사건이다. 사건 발생 후 8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진상 규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희생자 발굴 작업은 한국 시민단체의 노력으로만 진행되고 있다.

1991년에 설립된 '새기는 모임'은 일본 정부에 발굴 작업 지원을 요청해왔지만, 정부는 매몰 위치의 불확실성과 안전 문제를 이유로 조사를 거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시민단체는 시민들의 모금을 통해 유해 발굴 작업을 독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조세이 탄광의 희생자들이 예우받기 위해서는 더욱 많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