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비명은 곰 소리인 줄…" 아내의 놀라움 속에 노벨상 소식을 접한 면역학자

미국 면역학자인 프레드 램즈델(63)가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하게 된 것은 매우 기쁜 소식임에도 불구하고, 그는 수상 발표 하루가 지난 후에야 이 사실을 알게 되었다. 램즈델은 미국 아이다호의 오지에서 하이킹을 즐기고 있었으며, 당시 전기나 휴대전화 신호가 닿지 않는 장소에 있었기 때문이다.
7일 노벨위원회가 수상자를 발표했을 때, 램즈델이 소속된 샌프란시스코의 바이오기업 소노마 바이오테라퓨틱스의 대변인은 그가 현재 최고의 순간을 만끽하고 있다고 전하며 수상 소식을 전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램즈델의 동료이자 소노마의 공동 창립자인 제프리 블루스톤은 “그가 아마도 산속을 배낭을 메고 걷고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결국, 램즈델은 여행 중 차량 정비를 위해 잠시 멈춘 순간 아내가 휴대전화를 켜고 쏟아지는 축하 메시지를 보고 놀라 비명을 질렀다. 그는 "곰이라도 나타난 줄 알았다"며 그날의 순간을 회상했다.
램즈델은 일본 교토대학교의 사카구치 시몬 교수, 미국의 메리 E. 브렁코 박사와 함께 인간 면역체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조절 T세포(Regulatory T Cell)'의 중요성과 기능을 규명한 공로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였다. 그의 연구는 자가면역질환, 암, 장기이식 거부 반응 치료 등의 면역 조절 분야에서의 근본적인 기초를 다진 업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노벨상 수상자들이 발표 직후 연락이 닿지 않는 경우는 종종 발생한다. 예를 들어, 2008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마틴 챌피 박사는 수상 발표 당시 잠자는 중이었다고 회상하며 “전화벨이 울렸지만 이웃이 전화하는 것인 줄 알았다”고 말했다.
램즈델의 연구와 수상 소식은 인간 면역체계에 대한 이해를 깊이는 계기가 될 것이며,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면역학 분야에서의 그의 공로는 자가면역질환 극복 및 면역 기반 치료법 개발의 발전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