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높은 관세율로 협상 타결 가능성 제기

중국의 한 외교 및 안보 전문가가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협상이 상대적으로 높은 세율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칭화대 국제관계학과 교수 다웨이는 25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의 인터뷰에서 "양국이 무역 관세 합의에 조심스럽게 낙관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관세 수준에 대해서는 현실적인 시각을 가져야 하며, 미국이 일본, 한국, 유럽, 영국과 맺은 매우 낮은 수준의 관세 협상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수준이 이러한 국가들보다 높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다 교수는 특히 "미중 간 협상에서 관세율은 일부 동남아 국가들과 비슷할 수 있다"고도 내다봤다.
그의 발언은 한국, 일본, 유럽연합(EU)이 미국과 협상을 통해 설정한 상호관세율 15%와 비교할 때 의미가 크다.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에서의 상호관세율이 19~20%에 달하는 점에서도 이는 더욱 두드러진다. 다 교수는 가을쯤)에 관세 협상이 타결될 것이며, 이를 통해 중미 정상회담이 개최될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또한 정상회담의 주제가 무역 협정에 그치지 않고 펜타닐 문제와 틱톡(TikTok)의 소유권 문제 등 다양한 의제를 포함할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미국의 접근 방식에 대한 비판도 잊지 않았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펜타닐 문제에 대해 효과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기보다는 강경한 정치적 이미지를 쫓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입장에서 중국과 미국 간의 관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미국이 '하나의 중국' 정책을 존중하고, 대중 기술 제한 및 수출 통제 조치를 일부 해제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무역 갈등을 완화하고, 경제 협력의 길을 여는 중요한 사안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미중 간의 높은 관세율로 인해 더욱 복잡한 무역 구조가 형성될 것이며, 이는 향후 양국의 관계 변동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