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물쇠와 대형 라벨로 의류 반품 악용 차단…"유행인가?"

홈 > 투자정보 > 해외뉴스
해외뉴스

자물쇠와 대형 라벨로 의류 반품 악용 차단…"유행인가?"

코인개미 0 8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099_0446.png


중국의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구매 일주일 이내 환불' 규정이 악용되는 사례가 급증하면서 판매자들이 고심에 빠졌다. 일부 소비자들이 구매한 옷을 착용한 후, 외출하여 사진을 찍거나 다른 활동을 하며 기껏해야 반품을 시도하는 행태가 빈번해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중국의 여러 전자상거래 업체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최근 보도에 따르면, 업체들은 의류에 대형 라벨을 붙이거나 심지어 자물쇠를 달아 소비자의 반품 시도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지난 11월 11일, 중국의 대규모 쇼핑 이벤트를 맞아 많은 판매자들은 A4용지 크기의 플라스틱 라벨을 의류 뒤에 고정하거나, 제품에 자물쇠를 잠그는 형태로 진행했다. 이는 소비자들이 '구매 일주일 환불 가능'이라는 정책을 활용해 옷을 착용한 후 즉시 반품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대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판매업체인 샤오마씨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소비자들이 SNS에 옷을 입은 모습을 공유한 후, 결국 반품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며 "이로 인해 의류에는 닦을 수 없는 얼룩이나 향수 냄새가 남아 재판매가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하소연했다. 그는 이러한 이유로 업체의 반품률이 60%에 달한다는 개선 없는 현실을 우려하고 있다. 심지어 어떤 플랫폼에서는 반품률이 90%를 초과하고 있다는 사례도 보고됐다.

판매자 하윤씨는 "500위안 상당의 옷이 외출 후 더러워져 폐기처분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며 "소비자들이 플라스틱 라벨을 제거한 후 다시 착용하고 반품하는 경우가 많다"고 이야기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는 일회용 자물쇠나 번호 자물쇠를 사용하고 있으며, 소비자가 구매를 완료해야 비밀번호를 알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중국국제전자상거래센터의 리밍타오 전문가는 대형 라벨 붙이기를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삼을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반품된 상품을 재판매한다면, 이로 인해 소비자의 신뢰도가 떨어질 것"이라며 "판매자와 소비자 간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서비스 질 향상과 투명한 정보 공개가 우선시되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소비자의 신용 등급 제도 등 추가적인 보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런 추세는 중국의 전자상거래 시장의 경쟁력을 저하시키고, 판매자의 수익성을 해치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앞으로 업체들이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 나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