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내년부터 편지 배달 서비스 종료 예정

덴마크가 내년부터 전통적인 편지 배달 서비스를 전면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국영 우편국 '포스트노르드(PostNord)'의 발표에 따른 것으로, 이번 결정은 해당 서비스가 400년의 역사를 가진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졌다. 덴마크 전역에서 편지 배달의 급감이 큰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는 최근 몇 년 간 디지털화의 급속한 확산과 맞물려 더욱 두드러진 현상이다.
덴마크의 연간 우편물 수량은 2000년에 14억 통에 달했으나, 지난해에는 1억1000만 통으로 감소하여 무려 92%의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포스트노르드는 대규모 구조조정을 시행하는 한편, 소포 물류 확장을 위해 새로운 인력을 추가로 고용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2200명의 인력을 감축하는 동시에 700명을 신규 채용할 예정이다.
덴마크는 유럽에서 디지털 행정의 선두주자로 평가받고 있으며, OECD는 2023년 발표된 디지털 정부 평가에서 덴마크를 한국에 이어 2위에 올렸다. 이는 2019년 4위에서 크게 상승한 순위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전자 문서의 사용 확대로 인해 정부와 민간 부문 간의 행정 서비스가 디지털화되고 있다.
덴마크의 우편 시장은 작년부터 민간에 개방되었으며, 면세 제도 폐지로 인한 우편 요금의 급등이 추가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현재 편지 한 통을 보내기 위해서는 약 6300원이 소요되며, 앞으로는 민간 배송 업체들이 개인 간의 편지 배달을 담당할 예정이다.
이러한 우편물 감소 현상은 덴마크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며, 유럽 여러 나라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 맥킨지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대 후반 기준으로 독일과 스위스는 2000년대 초반 대비 우편물 처리량이 40% 감소했으며, 미국은 46% 감소, 영국은 50%에서 70%의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이에 따라 독일 도이체포스트는 올해 8000개의 일자리를 감축하였고, 역사 깊은 영국의 로열메일 역시 비용 절감을 위해 배달 횟수를 줄이겠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한국 또한 우편사업에서의 적자로 인해 올해만 2000억 원대의 손실이 예상되고 있다.
결국 덴마크의 편지 배달 중단 결정은 단순한 서비스 종료에 그치지 않으며, 계속해서 변화하는 사회적, 경제적 환경을 반영한 경향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전통적인 우편 서비스는 축소되고 있으며, 전자 문서와 물류 중심의 산업 구조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현실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