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미국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영향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가속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영국의 경제 전문지인 파이낸셜타임스(FT)는 5일(현지시간) 현재 미국의 물가가 수입품을 중심으로 관세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기업들이 관세에 따른 원가 상승 압박을 소비자에게 전가하기 시작하면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미국 노동부의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의 6개월 동안 오디오 기기의 가격은 14%, 의류는 8%, 그리고 공구 및 하드웨어 부품은 5% 상승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수입 관세를 대폭 인상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물가상승률은 2.9%에 그치고 있는 상황이지만, 이는 소비자들이 수입한 재화의 가격 상승을 느끼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여러 업체가 가격 인상을 단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실제로 월스트리트의 시장 조사기관인 '텔시 어드바이저리 그룹'에 따르면, 주요 소매업체들은 올해 4월 이래로 티셔츠, 신발 등 '소프트 라인' 상품 중 29종에서 11종의 가격을 인상했으며, 자전거 및 식기세척기와 같은 '하드 라인' 상품 중 18종에서 12종의 가격도 올렸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러한 현상은 소비자들에게 물가 상승의 직접적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세계 최대의 가구 제조업체인 '애슐리 퍼니처'는 지난 5일 절반 이상의 제품에서 가격을 3.5%에서 12%까지 인상하기로 결정했으며, 이는 관세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명백한 사례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14일부터 미국의 소파, 의자 등 천이나 가죽으로 덮인 가구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자동차 부품 소매업체 '오토존'도 최근 관세 인상의 영향을 실감하고 있으며, 가격 상승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여기에 더해 미국이 브라질에 대해 50%의 수입 관세를 부과하면서 커피 가격도 크게 상승하고 있으며, 강철과 같은 원자재의 관세도 인상되어 통조림 가격이 폭등하고 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도 최근 설명한 바에 따르면, 소비자들보다는 미국의 수입업자들과 소매업체들이 현재까지는 대부분의 관세 인상 비용을 떠안고 있는 상황임을 강조했다. 이 같은 대책들이 이어지면서 미국 경제 전반에 걸쳐 소비자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강조되고 있으며, 기업들이 가격을 인상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미국 내에서 관세 인상의 여파가 점차 심화되면서, 소비자들은 자신의 지갑에 직격탄을 맞게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 변화가 소비자들 사이에 불안감을 조성하고 있는 만큼,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와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