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 2029년 동계 아시안게임 난항 겪으며 한국에 대체 개최 요청 가능성 제기

홈 > 투자정보 > 해외뉴스
해외뉴스

사우디아라비아, 2029년 동계 아시안게임 난항 겪으며 한국에 대체 개최 요청 가능성 제기

코인개미 0 21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099_0446.png


2029년 동계 아시안게임의 개최를 맡고 있는 사우디아라비아가 대회 준비 과정에서 суще한 어려움에 직면하면서 한국이 대체 개최국으로 부각되고 있다.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한 바에 따르면, 사우디 정부는 한국과 중국을 대체 개최 후보로 고려하고 있으며,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또한 한국 측에 개최 의사를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체육회는 최근 싱가포르에서 열린 세계수영선수권대회 기간 동안 유승민 회장이 OCA의 후세인 알 무살람 사무총장 및 셰이크 조안 카타르올림픽위원회 위원장 등과 회담을 가진 사실을 밝혔다. 이 자리에서 OCA는 "사우디가 대회 준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한국이 대신 개최할 의사가 있는지를 문의했으며, 유 회장은 "정부와 상의하겠다"고 답했다. 이후 문화체육관광부에 관련 내용을 보고하며 추진 여부를 검토하기로 했다.

사우디는 2022년 10월 OCA 총회에서 만장일치로 2029년 동계 아시안게임 개최지로 선정됐다. 대회는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의 '비전 2030'의 일환으로 네옴시티의 산악 관광단지 ‘트로제나’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심각한 현실적인 문제에 부딪쳤다. 인공눈 생산과 리조트 운영을 위해서는 200km 떨어진 바다에서 물을 가져와야 하는데, 필수적인 해수 담수화 공사는 아직 착수조차 하지 못했다. 또한, 트로제나가 해발 2600m의 고지대에 위치해 있는 만큼 자재 운송과 시공의 난이도가 높아 상당한 장애물이 되고 있다.

네옴시티 측은 "장기 계획에 따라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으나, 2029년 대회까지 모든 공사가 완료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과 중국이 대체 개최국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것은 두 나라가 최근 몇 년간 동계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른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18년 평창과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의 인프라와 운영 능력은 그 자체로 신뢰를 쌓게 했다.

그러나 양국 정부는 "사우디와의 직접적인 논의는 없었다"며 신중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며, 최종적인 결정은 OCA의 판단에 달려있다. 따라서 한국이 2029년 동계 아시안게임 개최국으로 나설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결론적으로, 사우디아라비아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점들이 향후 대회 개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한국이 대체 개최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커질지에 대한 관심이 고민되고 있다. 이러한 발전 상황은 한국 스포츠 산업의 변화를 더욱더 부각시키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