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인텔 10% 지분 인수 공식화 "미국 정부가 완전 소유 및 통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인텔의 10% 지분 인수 사실을 공식 발표하면서 미국 정부가 인텔을 "완전히 소유하고 통제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소셜미디어인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미국의 미래를 위한 놀라운 거래가 됐다"며, 인텔이 최첨단 반도체와 집적회로를 생산하는 것은 국가의 미래에 매우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에 따르면, 이제 인텔의 최대 주주는 미국 정부가 되며, 이전까지의 최대주주인 블랙록은 보유 지분의 8.92%를 정부에게 내주게 되었다. 그는 "나는 이 거래를 인텔의 대표이사인 립부 탄과 협상했으며, 미국 정부는 이들 지분에 대해 아무것도 지불하지 않았다"며 현재 주식 가치는 약 110억 달러에 달한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지분 인수는 최근 미국 정부가 제정한 반도체법(Chip Act)에 따른 보조금 지급의 맥락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인텔은 보조금을 받기 위해 약속한 미국 내 투자 계획이 불투명해지자, 정부가 해당 지분 인수를 요구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인텔은 미국의 지원을 받는 대신 정부가 요구하는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협상을 진행했다.
심지어, 트럼프 대통령은 월드컵 행사 중에 이번 지분 인수를 소개하며, "우리는 이러한 거래를 더 많이 할 것이다"라는 발언으로 향후 다른 기업들의 지분 확보 가능성도 열어두었다. 이러한 발언은 삼성전자, 마이크론과 같은 대미 반도체 투자 관련 기업들이 다음 타겟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지난 19일 보조금을 통해 인텔의 지분 확보를 목표로 삼고 있다고 밝힌 바 있으며, 이후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트럼프 정부와 인텔은 빠르게 합의에 도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텔 외에도 보조금을 수령하는 다른 기업들에 대한 지분 인수 가능성을 암시하며 업계의 관심을 더욱 고조시켰다.
트럼프 정부가 외국 업체의 지분을 인수하려는 시도가 있을지를 두고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트럼프 행정부가 반도체법에 따라 보조금을 지급하면서 동시에 기업의 지분을 확보할 것을 검토 중이지만, 미국 내 투자를 늘리고 있는 대형 업체들에는 별도의 지분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지 않다고 보도했다. 이러한 흐름은 향후 인텔 외 기업들에도 미칠 영향에 대한 여러 해석을 낳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언과 지분 인수를 통해 미국의 반도체 산업 또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 가능성이 높아 보이며, 앞으로의 정책 변화에 귀추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