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식량 가격 소폭 하락하지만 육류는 상승세 지속

홈 > 투자정보 > 해외뉴스
해외뉴스

세계 식량 가격 소폭 하락하지만 육류는 상승세 지속

코인개미 0 20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099_0446.png


2025년 9월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식량 가격 지수는 전월 대비 0.9포인트 하락한 128.8포인트를 기록하며 지난달에 이어 소폭 하락세를 보였다. 곡물, 유제품, 설탕 및 유지류 가격은 모두 내린 반면, 육류 가격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가격 동향을 살펴보면, 9월의 곡물 가격지수는 105.0포인트로, 이전 월인 105.6포인트 대비 0.6% 하락했다. 국제 밀 가격은 글로벌 수요 감소와 러시아, 유럽, 북미의 풍작으로 인해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으며, 옥수수 가격 역시 브라질과 미국에서의 풍부한 공급 전망으로 인해 하락했다. 그러나 보리와 수수 가격은 상승세를 보여 보리는 3개월 연속 증가한 모습을 보였고, 쌀 가격은 인디카종 중심으로 0.5% 하락했다. 이는 필리핀과 아프리카 등 주요 구매국의 수요 둔화와 풍부한 수출 물량이 주효한 것으로 평가된다.

한편, 유지류 가격지수는 167.9포인트로 전월의 169.1포인트에서 0.7% 하락했다. 팜유와 대두유 가격 하락이 지수를 끌어내렸지만, 해바라기유와 유채유는 공급 제약으로 가격이 상승했다. 특히, 말레이시아의 팜유 재고 증가와 아르헨티나의 대두유 공급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육류 가격지수는 127.8포인트로 전월의 127.0포인트에서 0.6% 상승했다. 이 상승은 주로 쇠고기와 양고기 가격의 인상에 기인하며, 미국 내 수요 증가와 공급 부족, 오세아니아의 수출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 반면, 돼지고기와 가금육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의 돼지고기 수입이 감소했음에도 브라질산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며 안정세를 이루었고,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에도 불구하고 가금육 시장은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9월 유제품 가격지수는 148.3포인트로 전월 대비 2.6% 하락했다. 유제품 전반의 가격이 하락했으며, 특히 버터와 탈지분유, 전지분유 가격은 각각 7%, 4.3%, 3.1% 하락했다. 이는 북반구의 계절적 수요 감소, 뉴질랜드의 생산 증가 기대감, 주요 수입국의 구매 부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하지만 버터 가격은 여전히 지난해 평균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설탕 가격지수는 99.4포인트로, 4.1% 하락했다. 브라질 남부 주요 재배지역에서의 대규모 설탕 생산 및 인도와 태국의 몬순 강우로 인한 비옥한 수확 전망이 가격 하락을 더욱 부추겼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국내 농축산물 물가가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정부는 성수품 공급 확대와 할인 지원, 비상 수급 관리 체계 강화 등 다양한 대책을 발표했다"며 "김장철을 대비해 안정적인 공급과 소비자 부담 완화를 위한 선제적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정부의 노력은 앞으로 식량 시장의 불안정성을 최소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