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폭염 속 성묘 대행 서비스 급증…고령화가 부른 새로운 선택

일본에서 기록적인 폭염이 지속되면서 전통적인 성묘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최근 보도에 따르면, 폭염을 피해 '성묘 대행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는 고령화 사회와 맞물려 새로운 서비스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이런 서비스는 직접 성묘가 어려운 고령 가구들에게 더욱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올 여름, 도쿄 하치오지에 위치한 한 성묘 대행업체는 의뢰 건수가 지난 해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하여 60건을 초과했다고 밝혔다. 특히 8월 13일 오봉 연휴 동안 한 60대 여성 고객이 영상통화를 통해 묘지 청소를 의뢰한 사례가 주목받았다. 청소 과정을 실시간으로 중계하면서 고객은 스마트폰을 통해 합장을 하며 감사한 마음을 전했다. 이 고객은 "부모님이 고령이라 여름 더위를 이유로 직접 방문하는 것이 힘들었다"며 대행 서비스를 처음 이용하게 된 이유를 설명했다.
이러한 성묘 대행 서비스는 일본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산업 전반에 걸쳐 성장을 이루고 있다. NHK에 따르면, 대형 청소 서비스 업체의 경우 지난 5년간 의뢰 건수가 15~20% 증가했으며, 특히 폭염이 강해질수록 문의가 증가하고 있다. 한 대행업체의 대표는 "기온 상승이 성묘 대행 서비스 수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하며, 앞으로도 이러한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일본 사회의 이러한 변화가 기후변화와 고령화 현상이 결합된 결과라고 분석하고 있다. 폭염이 일상화됨에 따라 전통적인 성묘 방식이 물리적으로 어려워지고 있으며, 고령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직접 성묘를 하는 것이 더욱 힘들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성묘 대행 서비스는 효율적인 대안으로 위치를 잡게 되었다.
더 나아가, 앞으로 이 시장은 더욱 다양한 서비스로 세분화될 전망이다. 기본적인 성묘 대행을 넘어 온라인 추모 플랫폼, 가상현실(VR) 성묘, 인공지능 기반 추모 서비스 등 다양한 기술이 접목되어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가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장례 및 추모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결국, 일본의 성묘 대행 서비스는 단순한 시장의 트렌드를 넘어서, 고령화와 기후 변화로 인한 새로운 사회적 요구에 대한 응답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이제 많은 사람들이 보다 편리하고 현대적인 방법으로 조상의 전통을 기릴 수 있는 시대가 도래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