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수입 의약품 100% 관세 부과 계획 연기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오는 1일부터 시행하려던 수입 의약품에 대한 100% 관세 부과를 잠정적으로 연기하기로 했다. 이는 다국적 제약사들과의 협상 진행 상황을 고려한 결정으로 보인다.
백악관의 한 고위 관계자는 정치 전문 매체 폴리티코와의 인터뷰에서 "의약품 관세 부과 계획을 잠정적으로 중단했다"고 언급했다. 이는 다국적 제약회사들과의 협상을 진행 중인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자신의 SNS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미국 내 의약품 제조 공장을 세우지 않은 경우, 오는 1일부터 모든 브랜드 의약품 및 특허 의약품에 대해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강한 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그러나 이 같은 발표 이후, 의약품 관세 부과를 구체화하는 행정명령이 2일 오후 현재까지는 발표되지 않은 상태다. 이는 외국 제약사들과의 협상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화이자는 지난달 30일 미국 내에서 신약 판매 가격 인하 및 7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대해 화이자에 '3년간의 관세 유예'를 약속했다고 전해졌다.
화이자뿐만 아니라, 다른 다국적 제약사들도 미국 정부와의 협상에서 대미 투자를 포함한 다양한 방안에 대해 논의 중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미국은 의약품 관세 부과 일정이 다소 지연되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는 미국 내 의약품 가격 상승을 우려하는 국민들의 반발을 최소화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될 수 있다.
관세 부과 계획이 연기됨에 따라 미국과 제약회사 간의 협상이 어떤 최종 결과를 이끌어낼지 귀추가 주목된다. 다국적 제약사들은 자사의 가격 정책 및 투자를 통해 미국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 내 제약 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