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보수 진영의 공격에 휘말리다…머스크 "구독 해지" 선언

세계 최대의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인 넷플릭스가 미국 보수 진영으로부터 강력한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이 논란에 직접 가세함으로써 상황은 더 심화되고 있다. 미국 매체 더힐과 버라이어티에 따르면, 보수 성향의 인플루언서들은 넷플릭스가 2022년에 방영한 애니메이션 시리즈 '데드 엔드: 패러노멀 파크'(Dead End: Paranormal Park)를 문제 삼고 있다.
이 애니메이션은 두 시즌에 걸쳐 총 20편이 방영된 후 2023년에 종료되었지만, 주인공이 자신을 트랜스젠더로 소개하는 장면이 포함되어 있다는 이유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대해 시리즈 제작자 해미시 스틸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넷플릭스가 아이들에게 트랜스젠더를 강요한다는 주장은 전적으로 허위이며 비방"이라고 주장하며 반박했다. 그는 또한 "최근 극단적인 동성애 혐오와 반유대주의적 공격 이메일이 쏟아지고 있어 두렵다"고 덧붙였다.
넷플릭스는 언론의 논평 요청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았으며, 이러한 논란으로 인해 주가는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보도에 따르면, 넷플릭스의 주가는 지난달 29일 1200달러대에서 10월 1일에는 1170.90달러로 2.34% 급락했고, 2일에도 장 중 1%대 하락세를 기록했다.
머스크는 우파 인플루언서들이 애니메이션이 '7세 이상 시청 가능'으로 분류되어 어린이 대상 콘텐츠임을 문제 삼자, SNS에 "아이들의 건강을 위해 넷플릭스를 해지하라"고 언급하며 구독 해지를 권장했다. 그는 장남이 성전환 후 자신과의 관계가 소원해지면서 트랜스젠더 및 성소수자 문제에 대한 반대 발언을 이어오았으며, 진보주의 문화를 성소수자 확산의 배경으로 지목하고 있다.
그러나 흥미로운 점은 머스크가 운영하는 SNS 플랫폼 엑스(X, 구 트위터)가 성인물과 혐오 발언을 사실상 방치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그가 넷플릭스를 비판하는 태도가 자가당착이라는 비판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이처럼 넷플릭스의 논란은 단지 한 작품에 그치지 않고, 미국 사회 내부의 가치관 갈등과도 관련되어 있어 향후 더 큰 논란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앞으로 이 문제에 대한 넷플릭스의 대응과 머스크를 비롯한 보수 진영의 후속 행동이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