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쉐, 배터리 자회사 셀포스 청산 결정...공장 매각 나서

독일의 스포츠카 제조사 포르쉐가 전기차 배터리 자회사인 셀포스를 사실상 청산하는 구조조정에 들어갔다. 포르쉐는 이 과정에서 셀포스의 총 직원 286명 중 연구개발 인력을 제외한 약 200명을 해고하기로 결정하고 노동청에 공식적인 구조조정 계획을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셀포스의 공장은 독일 남서부 키르헨텔린스푸르트에 위치하며, 현재 공장 매각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BMW와 드론 제조업체들이 해당 매물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정보도 나오고 있다.
포르쉐는 2021년에 전기차 배터리를 자체 생산하기 위해 독일의 배터리 생산업체 커스텀셀과 합작하여 셀포스를 설립했다. 이후 2023년에는 이 회사에 대한 전량 지분을 인수하며 배터리 생산 확대를 목표로 삼았다. 하지만 수십억 유로에 달하는 투자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상용화 가능한 배터리를 개발하지 못해 큰 손실을 초래했다는 지적이 많다. 이와 관련해 독일 연방 정부 및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정부가 셀포스 설립 시 지원했던 5700만 유로(약 930억원)의 보조금을 회수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결정은 포르쉐가 설정한 2030년까지 전기차 판매 비중을 80%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이미 포기한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포르쉐에서 판매된 순수 전기차는 전체 판매의 25%에 불과했다. 올리버 블루메 CEO는 지난 4월에 "중국 시장에서의 럭셔리 전기차 수요가 얼마나 될지 의문"이라는 부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실제로 지난해에는 포르쉐의 중국 내 판매량이 전년 대비 28% 감소하며 큰 어려움을 겪었다. 중국 이외 지역에서는 판매량이 증가했지만, 전체 글로벌 판매량은 3% 줄어들었다.
이러한 통계는 가성비를 내세운 중국산 전기차와의 경쟁이 원인이라는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작년에 샤오미가 선보인 전기차 'SU7'는 포르쉐의 첫 순수 전기차인 '타이칸'과 외관이 유사하며, 출력 및 제동력도 비슷한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중국 현지에서 타이칸의 절반 가격에 판매되어 큰 인기를 끌었다.
더욱이 아우디를 비롯한 여러 자동차 제조사들도 전기차에 대한 수요가 예상보다 낮아지자 전환 로드맵을 재조정하고 있는 상황이다. 아우디는 내년부터 내연기관 차의 새로운 모델 출시를 중단하겠다는 계획을 공식적으로 철회하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2035년부터 신규 내연기관 차량의 판매를 완전 금지하겠다는 유럽연합(EU)의 규제도 수정해달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포르쉐의 셀포스 청산과 공장 매각 추진은 전세계 전기차 시장에서의 경쟁 심화와 함께 더욱 강력히 부각되고 있으며, 향후 전기차 산업 전반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