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미국, 10월 이전에 정상회담을 위한 실무 협의 진행
북한과 미국이 10월 이전에 북·미 정상회담의 가능성 준비를 위해 실무자 간 협의를 진행한 것으로 보도됐다. 일본 아사히 신문은 27일 북·미 관계 소식통을 인용하여 이 같은 내용을 전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말 경주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회담 의사를 재차 확인한 것이 실무 접촉의 배경이 된 것으로 분석된다. 소식통은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에 대비해 양측 실무진이 접촉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러한 움직임이 북·미 간의 대화 재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감을 나타냈다.
한편, 아사히 신문은 이번 실무 협의가 트럼프 행정부 1기 시절에 진행됐던 실무 접촉을 재개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으며, 그러나 협의에 참가한 구체적인 인물이나 장소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또 다른 소식통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출범 초기부터 이전의 대화 채널 복원을 시도했지만 북한이 이에 대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과거에는 1990년대부터 2010년 전후까지 미 국무부 당국자들과 유엔 주재 북한 대표부 관계자 간에 비공식적인 접촉이 있었던 사례가 있었으며, 이러한 점은 현재 상황과 비교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북·미 정상회담의 가능성이 다시 거론됨에 따라, 향후 북한의 대미 정책과 행동에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실무 협의가 궁극적으로는 두 나라 간의 대화 재개로 이어지기를 기대하고 있으며, 이는 한반도의 정세 안정과 지역 안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와 함께, 북한의 비핵화 문제와 경제적 지원의 회복이 대화 주요 의제로 부각될 가능성이 크며, 이를 위해 각국의 외교적 노력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상황 변화에 유의하며, 북·미 간의 지속적인 대화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는 시선이 모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