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 국내 최대 리튬 광산 지분 5% 확보

미국 에너지부가 리튬 아메리카의 지분 5%와 더불어 네바다주 태커 패스에 위치한 미국 최대 리튬 광산 프로젝트에 대한 지분 5%를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부 장관은 지난달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해당 광산의 건설이 미국의 이익에 부합하며, 수입 리튬을 대체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앞으로 몇 년 간 수입 의존도를 크게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리튬 아메리카는 캐나다 업체로 미국 자동차기업 제너럴모터스(GM)와 협력하여 태커 패스 광산을 개발 중이다. 두 회사의 지분은 각각 62%와 38%로 구성되어 있으며, GM은 이 프로젝트에 6억2500만 달러를 투자하고 초기 단계에서 생산될 모든 리튬과 추가 단계의 일부를 향후 20년 동안 구매할 권리를 바탕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블룸버그통신은 바이든 전 행정부의 시기에 미 에너지부가 태커 패스 프로젝트에 22억 달러의 대출을 제공하기로 결정했으나, 리튬 아메리카와 GM이 초기 조건을 충족하지 못해 대출 구조조정을 요청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로 인해 GM이 리튬 구매를 보장하지 않자 에너지부는 지분 인수로 방향을 선회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인수는 트럼프 행정부 시기 국가 안보 관점에서 중국이 핵심 광물을 무기화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미국이 직접 기업 지분을 취득하는 사례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이전에 미 국방부는 미국 내 유일한 희토류 광산을 운영 중인 MP머티리얼스에 4억 달러를 투자하여 최대 주주가 되었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는 반도체법에 따라 89억 달러를 투자하여 경영 위기에 처한 인텔의 9.9% 지분도 확보한 바 있다.
정부의 이러한 투자 전략은 지속 가능한 에너지와 전기차 배터리 공급 강화, 그리고 미국 내 자원 개발의 자립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앞으로 이 광산의 운영이 안정적으로 진행된다면, 미국은 리튬 자원의 자급자족에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