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과 캄보디아, 경계 긴장 고조…지난 7월 유혈 충돌의 기억 되살리나

태국과 캄보디아 국경 지역에서 군의 소규모 교전이 발생하며 두 국가 간의 긴장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지난 7월에 일어난 대규모 유혈 충돌에 이어, 두달 만에 다시 악화된 상황에 피란민들의 공포가 다시금 커지고 있으며, 아세안의 중재 역할에 대한 신뢰 또한 흔들리고 있다.
지난 27일(현지시간) 태국군 주장에 따르면, 캄보디아군이 태국 동부 우본라차타니주 총안마 지역에서 소총과 유탄으로 선제 공격을 감행하였다고 전했다. 반면 캄보디아 국방부는 태국군이 자국 북부 쁘레아비히어르주 안세의 군 기지에 소총과 박격포로 공격했다고 주장하며, 양측 모두 상대방에게 책임을 돌리고 있다.
태국 측은 이번 교전이 고의적으로 유도된 도발일 수 있다고 의심하며, 캄보디아군이 태국군의 반격을 촉발시킨 후 전투 장면을 촬영하여 아세안(ASEAN)의 휴전 감시단에 전달함으로써 태국의 침략 행위로 조작하려 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태국군은 캄보디아군이 현장에 카메라를 사전에 설치한 영상을 확보했다고 전하며 이러한 의혹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에 대해 캄보디아의 실질적인 권력자인 훈센 상원의장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태국군이 먼저 기관총을 사용했다"며 현재 캄보디아군에 인내심을 발휘하도록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상호 비난이 계속됨에 따라 상황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이번 교전은 지난 7월 말의 휴전 이후 첫 공식적인 무력 충돌로, 그때 당시에는 닷새에 걸친 격렬한 전투로 최소 43명이 사망하고 30만 명 이상의 피란민이 발생한 바 있다. 이러한 유혈 사태 속에서 양국은 지난 10일 국경위원회 회의를 통해 중화기를 철수하고 공동으로 지뢰를 제거하기로 합의했으나, 17일에는 군인과 시위대 간의 충돌이 발생하며 20여 명이 부상하는 등 긴장이 여전히 가시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피란민들은 다시 공포에 시달리고 있으며, 아세안의 중재 역할 또한 점차 신뢰를 잃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양국의 군사적 갈등은 지역 안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외교적 해결 방안이 시급하게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