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내 공장 없으면 의약품 100% 관세 부과…가구와 대형 트럭도 포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월 1일부터 의약품, 가구, 그리고 대형 트럭에 대해 새로운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조치는 미국의 제조업 활성화를 도모하고, 해외 수입품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관세의 시행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트루스 소셜을 통해 알렸다.
특히, 의약품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2025년 10월 1일부터 미국 내 제약 공장을 새롭게 건설 중인 기업을 제외하고는 모든 브랜드 의약품 및 특허 의약품에 10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여기서 '건설 중'이라는 용어는 공사가 시작된 상태를 의미하며, 실제 건설이 이루어질 때까지는 관세가 부과되지 않는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주요 제약사들은 미국 내 투자 확대에 나서고 있으며, 영국 제약사 GSK는 향후 5년간 30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을 발표했다.
가구와 대형 트럭에 대한 관세는 특히 주목할 만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주방 및 욕실 가구에 대해 50%, 천이나 가죽으로 된 가구에는 30%, 그리고 대형 트럭에는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러한 조치가 해외 저가 제품의 시장 잠식을 방지하고, 미국의 제조업을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번 조치는 미국 상무부가 의약품과 중·대형 트럭, 부품의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실시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였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특정 품목의 수입이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될 경우 대통령이 관세 부과 등의 조치를 통해 수입을 제한할 수 있는 법안으로, 이전에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등에도 적용된 바 있다.
한편, 이러한 조치가 한국과의 무역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도 주목받고 있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은 지난 7월 한미 무역협정 체결 당시 한국에 대한 최혜국 대우를 약속했으나, 그 결과가 실제로 이행될지는 미지수다. 현재 후속 협상이 지지부진하여 무역협정 최종 타결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발표는 한국 기업들에게 더욱 긴장감을 주고 있다.
이번 관세 부과가 이루어지면 대미 수출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반도체 등 다른 품목에 대한 관세 부과 가능성도 남아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한국 기업들이 미국 시장에서 느끼는 불확실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제조 환경을 보호하는 것의 중요성을 여러 차례 강조하며, 국가 안보를 이유로 이러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해왔다. 따라서 향후의 무역 정책 변동과 그에 따른 기업 전략 변화가 주목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