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 증시,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3일 연속 하락… 나스닥 0.5% 감소

미국 뉴욕 증시의 3대 지수가 25일(현지시간) 경제 성장률이 양호함에도 불구하고 사흘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이는 인공지능(AI) 랠리에 대한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와 주가 고평가에 대한 논란이 투자자들의 심리를 위축시켰기 때문이다. 특히 S&P500 지수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최근 22.9로 상승해, 이는 닷컴버블과 코로나19 상황을 제외하면 가장 높은 수치로 평가된다.
이날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173.96포인트(0.38%) 하락한 4만5947.32에 장을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 지수는 33.25포인트(0.5%) 떨어진 6604.72로 마감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13.157포인트(0.5%) 하락한 2만2384.698에 거래를 마쳤다.
기업별로는 오라클이 5.55% 급락하였다. 이는 로스차일드 레드번이라는 기관이 오라클의 클라우드 사업에 대한 기대가 과도하게 반영되어 있다고 경고하면서 주가가 최대 40% 하락할 수 있다고 언급한 데 따른 결과로 해석된다. 그 외에도 마이크로소프트는 0.61% 하락,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은 0.51%,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는 1.54% 하락했으며, 테슬라는 4.38% 약세를 기록하였다. 한편, 엔비디아는 0.39% 상승세를 보였다.
이날 이루어진 미국 상무부의 발표에 따르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확정치가 전기 대비 연율 3.8% 증가했다고 보고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3.3%를 크게 웃돈 수치로, 소비 회복과 무역적자 축소가 두 가지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또한, 노동시장 역시 긍정적인 신호를 보냈다. 미 노동부의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1만8000건으로 예상을 하회해 최근 노동 시장 둔화에 대한 우려를 다소 완화시켰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주가 고평가 논란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며 시장의 투자 심리를 압박하고 있다. 노스라이트 에셋 매니지먼트의 크리스 자카렐리 최고투자책임자는 "경제가 강력하게 성장하고 있긴 하지만, 긍정적인 소식이 이미 가격에 반영되어 있어 우려되는 것은 밸류에이션"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내부에서는 향후 금리 인하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오스턴 굴즈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추가 금리 인하에 신중한 태도를 보인 반면, 미셸 보먼 Fed 부의장은 노동 시장이 예상보다 약하다고 경고하며 연말까지 금리 인하가 있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러한 다양한 의견이 금리 인하의 속도와 폭에 대한 불확실성을 더욱 증대시키고 있다.
마지막으로, 미 국채 금리는 견조한 성장률 발표 이후 단기물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10년물 금리는 2bp 상승하여 4.17%에 달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2분기 GDP 호조가 Fed의 정책 경로를 급격하게 바꾸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시장의 관심은 무엇보다도 26일 발표될 8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지수에 집중되고 있으며, 이는 Fed가 가장 중시하는 인플레이션 지표로 이번 발표에서의 변화에 따라 시장 분위기가 크게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