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장 초반 혼조세 속 엔비디아 투자 반향 주목

홈 > 투자정보 > 해외뉴스
해외뉴스

뉴욕증시, 장 초반 혼조세 속 엔비디아 투자 반향 주목

코인개미 0 17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099_0446.png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23일(현지시간) 장 초반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전일 엔비디아의 오픈AI에 대한 대규모 투자 소식에 힘입어 사상 최고치로 마감했던 만큼, 이날은 시장이 숨 고르기에 들어간 것으로 분석된다.

오전 10시 37분 현재 블루칩 중심의 다우지수는 173.72포인트(0.37%) 상승해 4만6555.26을 기록하고 있으며, 반면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5.28포인트(0.08%) 하락한 6688.47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68.086포인트(0.3%) 하락하며 2만2720.89에 거래되고 있다.

주요 종목 분석으로는 보잉이 긍정적인 뉴스에 힘입어 2.63% 상승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즈베키스탄 항공과 보잉 항공기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알리면서 매수세가 몰리고 있다. 그러나 엔비디아는 전일 대비 1.94% 하락 중이며 테슬라도 0.16% 약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전날 증시는 인공지능(AI)의 낙관론에 힘입어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이 랠리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뱅가드의 조 데이비스 수석 글로벌 이코노미스트는 AI의 폭발적 성장과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가 주식시장의 평가 가치를 높이는 주요 요인이라고 지적하며, 현재 평가가치가 높은 상황에서 나쁜 뉴스에 취약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즉, 올 하반기 경제 성장이 가속화되거나 인플레이션이 완고하게 전개되어야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연방정부의 셧다운 가능성도 투자 심리에 부담을 주고 있다. 최근 미 연방의회 상원은 하원을 통과한 임시 예산안을 부결시켰으며, 오는 30일까지 예산안이 처리되지 않으면 10월 1일부터 연방정부 셧다운이 불가피하다.

이번 주 투자자들은 경제 지표 발표에 주목하고 있으며, 특히 26일 공개될 8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지수가 핵심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Fed가 가장 중시하는 인플레이션 지표인 근원 PCE 물가는 전월 대비 0.2%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7월의 0.3%보다 낮은 수치로 보인다. Fed는 노동시장 둔화 우려 속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으므로, 향후 물가 및 고용 지표가 금리의 향방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마이런 Fed 이사는 최근 기준금리를 2%포인트 인하해야 한다고 언급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그는 통화정책이 제약적인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국채 금리는 강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4.14%,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3.6%로 전 거래일과 같게 움직이고 있다.

전반적으로 뉴욕 증시는 엔비디아의 투자 발표 및 기술주 부진 속에서 다양한 경제 요인들이 얽혀 있는 복잡한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