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노화 가속화 연구 결과 밝혀져

홈 > 투자정보 > 해외뉴스
해외뉴스

폭염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노화 가속화 연구 결과 밝혀져

코인개미 0 6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099_0446.png


대만에서 진행된 대규모 연구에 따르면, 폭염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인간의 신체가 가속 노화를 경험할 수 있다고 한다. 이는 단기간의 사망 위험 증가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건강에 매우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 결과로, 연구팀은 이 결과를 국제 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에 발표했다.

연구는 홍콩대학교의 궈추이 교수팀이 맡아 2008년부터 2022년까지 대만 성인 24,922명의 건강 데이터를 추적하여 진행됐다. 이들은 혈압, 염증 수치, 콜레스테롤, 그리고 장기 기능을 포함한 여러 생리적 지표를 종합하여 각 참가자의 '생물학적 나이'를 측정하고, 폭염에 노출된 일수와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폭염에 노출된 누적 기간이 통계적 사분범위(IQR)만큼 증가할 경우 생물학적 나이가 평균 8일에서 11일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2년 동안 폭염일 수가 4일 증가한 사람의 경우 생물학적 나이가 약 9일 더 빨라지는 경향이 보였다. 뿐만 아니라 육체노동자와 농촌 거주자, 에어컨 보급률이 낮은 지역 주민들에게서 그 영향이 더욱 두드러지며, 야외에서 일하는 노동자의 생물학적 나이는 평균 33일 앞당겨지는 것으로 보고됐다.

궈 교수는 수치적으로는 미미해 보일 수 있지만, 폭염은 수십 년에 걸쳐 지속될 경우 그 건강 영향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호주 매쿼리대학교의 폴 백스 교수는 폭염을 견뎌냈다고 생각했던 사람들이 음주나 고온에 자주 노출되면서 노화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고 강조하며, 젊은 시절의 폭염 노출이 뇌 발달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인용했다.

한편, 한국에서도 기록적인 폭염이 지속되고 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여름 누적 온열질환자는 4,000명을 초과하였고, 사망자는 최소 26명에 달하고 있다. 7월 서울에서는 연속하여 22일 동안 열대야가 나타나며 역사상 최다 기록을 갱신했으며, 최고 기온이 29.3도에 달하는 등 최악의 더위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폭염의 일반화는 단기적 피해를 넘어, 장기적인 건강 위협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크다는 경고도 이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참여자의 체중, 흡연 및 운동 습관, 기존 질환 등 다양한 요소는 고려했지만, 개인별 야외 활동 시간이나 개별 냉방기 사용 여부 등은 포함되지 않아, 향후 더 많은 변수를 포함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폭염이 인간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막기 위해서는 과학적 데이터 기반의 보다 더 체계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