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발언에 허탈감…" 윤석열 지지층, 정상회담 결과에 실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서의 상황을 '숙청 또는 혁명'으로 묘사한 후, 긴장감 속에 시작된 한미 정상회담이 예상과는 달리 화기애애한 분위기로 마무리되자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지지자들 사이에는 실망과 허탈감이 커지고 있다. 정상회담 전 보수 성향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트황상(트럼프 황제 폐하)'이 한국 정치에 중대한 변화를 일으킬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었으나, 트럼프의 발언과 후속 결정은 그 기대를 저버리는 결과를 초래했다.
회담이 진행되기 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SNS 플랫폼인 트루스소셜에 "한국에서의 상황은 숙청 혹은 혁명처럼 보인다"는 발언을 남겼다. 이는 윤 전 대통령과 관련된 논란이 불거진 상황에서 그의 발언이 어떻게 회담에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켰다. 그러나 막상 본 회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의 발언을 듣고 "내 발언은 오해였다"고 정정하며, 이 대통령에 대한 지지를 강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변화는 외신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냈지만,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은 큰 실망을 감추지 못했다.
그들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믿었던 트럼프가 배신했다"며 실망을 토로하고 있고, "트럼프도 친중 좌파였다"는 비난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보수 유튜브 채널 '신의한수'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루머로 폄하한 것에 대해 황당함을 나타내며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또한 윤 전 대통령의 '인권 유린 실태'를 알리겠다고 미국으로 간 전 한국사 강사 전한길 역시 이번 정상회담을 생중계했으나, 해당 영상은 곧바로 삭제됐다.
윤 전 대통령의 지지층은 트럼프의 기대했던 강경한 메시지가 없다 보니 실망감이 더욱 커졌으며, "누군가 트럼프로 변장하고 있다"는 험한 얘기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이러한 반응은 한국 정치 내에서 트럼프가 줄 수 있는 영향력에 대한 기대와 실제 상황의 괴리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한국 정치의 변별력과 보수 지지층의 반응이 어떻게 변화할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