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 가격, 45년 만에 최고가 경신…산업 수요 증가와 안전자산 선호가 원인

최근 은 가격이 1980년 이후 45년 만에 온스당 50달러를 돌파하며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세계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과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서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가 증가한 것과 관련이 있다. 올해 들어 은 가격은 64% 이상 상승했으며, 특히 지난달부터 급격한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이 금 가격 상승에 부담을 느끼며 은으로 수요를 이동시키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지난 8일 뉴욕상품거래소에서는 은 가격이 장중 50.224달러까지 치솟았지만, 이후 차익 실현 매물에 따라 48.99달러에 마감했다. 이로써 올 초 29.90달러에서 시작한 은 가격은 큰 폭으로 상승하게 되었다.
미국의 정치적 상황 역시 이러한 상승세에 기여하고 있다. 미국 정부의 임시예산안이 부결되면서 셧다운 사태로 이어졌고, 이에 따라 안전 자산으로서의 금과 은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금 가격은 최근 사상 최고치인 온스당 4000달러를 넘어섰으며, 이는 은 가격 상승의 도화선이 되었다. 귀금속 투자 전문 기관 실버인스티튜트의 마이클 디리엔조 CEO는 금 가격의 상승과 함께 은 가격이 급등세로 전환될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
은은 단순히 투자 자산에 그치지 않고 산업용으로의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특히 태양광 패널과 AI 데이터센터 등 첨단 기술 산업에 필수적인 금속으로 주목받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은은 뛰어난 열 전도율과 빛 반사율로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메탈스포커스의 필립 뉴먼 이사는 "은의 산업 수요는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앞으로 일부 공급 부족이 예상되어 중장기적으로 가격 상승세를 지속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한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분쟁도 은 수요를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JP모건의 그렉 시어러는 중국 기업들이 미국과의 무역 분쟁에 대비해 태양광 패널에 필요한 은을 사재기 해 왔음을 언급하며, 이러한 수요가 글로벌 시장에서 신규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음을 강조했다.
이렇듯 은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는 배경에는 안전 자산으로서의 매력과 함께 산업 수요의 빠른 증가가 있다. 앞으로도 은은 태양광, 반도체, AI 데이터센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그 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