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경수술 후 자폐증 발병률 상승 발언, 정치적 논란에 휘말린 케네디 장관"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미국 보건복지부 장관이 최근 포경수술을 받은 어린이들의 자폐증 발병률이 높다는 주장을 하여 큰 논란을 일으켰다. 케네디 장관은 워싱턴 D.C.에서 열린 내각회의에서 "조기 포경수술을 받은 아이는 자폐증 발병률이 두 배로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며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 복용이 그 원인일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그가 언급한 연구는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았으나, 과거 2013년과 2015년에 발표된 국제 학술지의 내용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 첫 번째 연구는 여러 나라의 남성들 중 포경수술을 받은 경우와 자폐증 발병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포경수술에 사용되는 진통제가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덴마크에서 약 34만 명의 남아이들을 추적하여 포경수술을 받은 아이들이 자폐증에 걸릴 위험이 46%에서 62% 증가했다고 명시했다.
그러나 이 연구들은 학계에서 신뢰성에 의문을 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부모의 출산 연령, 의료 접근성, 자폐증 진단율의 증가 등 다양한 요인이 통제되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포경수술을 받은 아이들이 더 자주 병원 진료를 받게 되어 자폐증 진단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강조했다.
케네디 장관의 발언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타이레놀 복용이 태아의 자폐증 발병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주장한 지 불과 2주 만에 나오면서 더욱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식품의약국(FDA)에 타이레놀 제품 라벨에 자폐증과 뇌 발달 위험을 경고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런 상황에 대해 의료계는 케네디 장관의 발언이 정치적 성격이 강하다는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미국 산부인과학회(ACOG)는 "지난 20여 년간의 연구에서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 복용과 자폐증 사이의 관계는 확립되지 않았다"며, 적절한 용량의 타이레놀이 임신부에게 안전한 해열·진통제임을 다시 한 번 강조하였다. 뿐만 아니라 세계보건기구(WHO)와 유럽의약품청(EMA) 모두 현재까지 과학적 근거가 없다며 이러한 주장에 제동을 걸었다.
의료계의 일치된 반응은 케네디 장관의 논란이 단순한 의견 제시를 넘어 정치적 목적이 내포되어 있다는 우려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공공의 보건에 대한 잘못된 정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부와 학계의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연구와 정보 제공이 절실히 요구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