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T 연구팀 "AI, 미국 노동시장 11.7% 대체 가능성 도달"
현재 인공지능(AI) 기술이 미국 노동력의 약 11.7%를 대체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는 분석이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연구진의 발표를 통해 드러났다. 연구진은 AI의 영향력이 기술 분야를 넘어 인사, 물류, 재무 등 다양한 직무에서 빠르게 확대되고 있으며, 도시와 비도시를 포함한 전 미국 노동시장 전반에 큰 구조적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6일(현지시간) 미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MIT와 미 에너지부 산하 오크리지국립연구소(ORNL) 공동 연구진은 AI 기술이 미국 노동시장의 11.7%를 대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은 미국 노동시장에서의 AI 기술의 영향을 측정하는 '빙산 지수(Iceberg Index)'를 개발했으며, 이를 통해 1억5000만 명이 넘는 노동력과 수천 개의 AI 에이전트가 함께 운영되는 '혼합 사회'의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빙산 지수의 분석 결과, 컴퓨팅 및 기술 분야에 국한된 ‘눈에 보이는’ AI 도입 기술은 전체 임금 가치의 2.2%(약 2110억 달러) 수준으로 추정되지만 이는 단지 "빙산의 일각"에 지나지 않다고 연구진은 강조했다. 인사관리(HR), 물류, 재무 및 일반 사무 등 다양한 업무에 적용될 수 있는 AI의 가치는 미국 노동인구의 총임금의 11.7%(약 1조20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러한 업무 영역은 기존의 시뮬레이션 예측에서 간과되기 쉬운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러한 AI의 영향력이 도시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미국 전역 50개 주에 걸쳐 널리 퍼져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기술적 변화가 국내총생산(GDP)이나 소득, 실업률 등 기존 경제 지표로는 5% 미만만을 설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AI의 경제적 영향을 정확히 포착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기존의 경제 지표만으로는 AI가 노동시장과 업무 수행 방식에 미치는 깊은 변화를 온전히 드러낼 수 없기 때문에, 보다 진화된 분석 프레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 연구진은 '빙산 지수'가 특정 직무의 소멸 시기나 장소를 정확히 예측하는 도구가 아니라, 현재 AI 시스템이 어떤 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스냅숏'으로 기능한다고 설명했다. 이 지수는 정책 결정자들이 예산을 투입하고 법률을 제정하기 전에 다양한 가정을 체계적으로 검토할 수 있도록 돕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예정이다. 연구진은 이 결과를 통해 기업 경영진이 어떤 분야가 AI의 영향에 특히 취약한지를 파악하고, 향후 훈련, 인력 재교육 및 인프라 투자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