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 마이런 "Fed 금리 2%포인트 인하 필요" 주장

스티븐 마이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사가 기준금리를 2%포인트 인하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트럼프 경제 책사’로 알려진 마이런 이사는 취임 일주일 만에 뉴욕 이코노믹 클럽에서 열린 첫 공개 연설에서 파격적인 의견을 피력하며 큰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마이런 이사는 연설에서 “현재 통화정책은 제약적인 상황에 들어섰다”며 “단기금리가 적정 수준에 비해 약 2%포인트 정도 너무 긴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러한 긴축이 불필요한 해고 및 실업률 상승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그는 관세, 이민 제한, 세금 정책의 변화로 인해 중립금리가 낮아졌음을 강조하며, 이로 인해 경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금리를 훨씬 더 낮출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중립금리는 이론적으로 경기 과열도, 침체도 유발하지 않는 적정 수준의 금리를 의미한다.
마이런 이사는 연설 중 Fed의 주요 목표인 물가 안정 촉진과 관련해 “모든 미국 가계와 기업의 이익을 위해 힘쓰고 있으며, 난 인플레이션을 2%로 지속 가능하도록 되돌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그는 “정책을 지나치게 제약적인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은 Fed가 고용 의무를 다하는 데 상당한 위험을 초래한다”고도 덧붙였다.
마이런 이사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경질된 아드리아나 쿠글러 전 Fed 이사의 후임으로 지명한 인물로, 백악관 국가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으로도 활동한 바 있다. 취임 이후 그는 지속적으로 금리 인하를 주장해 왔으며, 지난 17일 처음 참석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도 대폭적인 금리 인하를 요구하는 유일한 인사였다. 이번 FOMC 회의에서는 Fed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해 연 4.0~4.25%로 조정했지만, 마이런 이사는 0.5%포인트의 추가 인하를 요구하며 반대 의견을 표명했다. 그는 연말 금리에 대한 전망에서도 다른 위원들과의 의견 차이를 보이며 1.25%포인트의 추가 인하를 제시했다.
또한 그는 앞으로도 금리 인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주장할 것임을 분명히 하며 "내 견해가 바뀔 때까지 이 의견을 고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합의가 전혀 없는 상황에서 단지 합의라는 환상을 만들어 내기 위해 내가 믿지 않는 것에는 투표하지 않겠다"는 분명한 입장을 표명했다.
마이런 이사의 임기는 쿠글러 전 이사의 잔여 임기인 내년 1월까지 이어지며, 이후 새 이사로 임명될지는 불확실하다. 만약 잔여 임기만 채울 경우 그는 현재 휴직 중인 백악관 CEA 위원장 자리로 복귀하게 된다. 이에 대해 민주당 측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영향을 받은 인사 기용이라며, Fed의 독립성이 훼손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