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구매를 후회하며 지속적으로 투자 중인 로버트 기요사키

베스트셀러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가 법정화폐를 "가짜 돈"이라고 비난하며 비트코인 투자에 대한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19일(현지 시간), 가상자산 전문 매체인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기요사키는 최근 진행된 팟캐스트에서 "학교와 교수들이 학생들에게 인플레이션의 위험이 존재하는 가짜 돈을 위해 일하게 만들고 있다"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를 통해 가난한 사람들은 진정한 자산의 가치를 모르고 있어 빈곤해진다고 주장했다.
기요사키는 전통적인 재정 교육 방식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학생들이 좋은 직장을 얻기 위해 열심히 일하고 나서 형편없는 투자 상품인 401(k)에 돈을 넣도록 강요받는 시스템이 부를 보장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대신 그는 비트코인, 금, 은과 같은 실물 자산에 투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상장지수펀드(ETF)의 위험성에도 주의를 기울였다. ETF를 통한 금, 은, 암호화폐 등의 투자로는 자산의 실체를 확보할 수 없으며, 이는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기요사키는 "진짜 자산과 종이 자산의 차이를 이해해야 한다"며, 비유적으로 "실제 총이 아니라 총의 사진을 소유하는 것과 같다"라고 설명했다.
기요사키는 비트코인을 처음 매수했을 때 가격이 약 6000달러였고, 현재 60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더 많이 사지 못한 것이 후회된다"며, 현재 임대 수익을 활용해 금, 은, 석유뿐만 아니라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지속적으로 매수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지난 4월 비트코인이 향후 100만 달러에 도달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으며, "이 자산들이 단기적으로 가격 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면서도 하락 시에 추가 매수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장기적으로는 2030년까지 비트코인이 100만 달러, 금이 온스당 3만 달러, 은이 온스당 3000달러를 넘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기요사키의 이러한 주장은 현재 금융 시장에서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더욱 주목받고 있다. 특히 그는 부를 창출하기 위한 대안으로 전통적인 재정 시스템을 비판하며, 암호화폐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많은 투자자들이 흐름을 따라가는 가운데, 비트코인과 같은 자산의 가치가 어떻게 진화할지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