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콩고 에볼라 발병 사망자 31명 증가, 확진 및 의심 사례 48건 보고

민주콩고에서 에볼라 바이러스병 발병이 선언된 지 2주가 경과한 현재, 사망자는 총 31명으로 늘어났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는 18일(현지시간) 제네바에서 열린 화상 회의에서 민주콩고 정부가 에볼라 발병 선언 후 지금까지 48건의 확진 및 의심 사례가 보고되었음을 알렸다. 이 중 38건은 확진 사례로, 현재 발병의 중심지인 민주콩고 남부 카사이주 불라페 지역의 에볼라 치료센터에서 15명이 치료를 받고 있으며 2명은 퇴원했다.
에볼라는 1976년 첫 발병이 확인된 이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질병으로, 민주콩고의 에볼라강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이 질병은 체액을 통해 전파되며 고열과 출혈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할 경우 치사율이 80~90%에 이를 정도로 매우 위험한 질환이다.
민주콩고 보건부는 지난 4일 34세 임신부가 고열과 반복적인 구토 증상으로 입원 후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되어 발병을 공식 발표했다. 이후 에볼라가 다시 만연하고 있으며, 이는 이번이 16번째 발병 선언에 해당한다. 2013년부터 2016년 사이 서부 아프리카에서 발생한 에볼라 전염병으로는 1만1300명이 사망한 바 있어 엄중한 상황임을 나타낸다.
또한, 민주콩고는 지난 14일 에볼라 백신 접종을 시작했으며, WHO는 불라페 지역에 '에르베보' 백신 760회분을 전달했고, 몇 일 내로 수도 킨샤사에 추가로 약 4500회분이 도착할 예정이라 밝혔다. 초기 접종 대상자는 최전선의 의료 종사자와 확진자와의 접촉자들로 설정되어 있다. 이번 에볼라 발병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노력은 보건 당국의 주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에볼라의 전파 경로가 체액이기 때문에 방역 조치가 더욱 철저히 이루어져야 하며, 지역 사회와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안전한 백신 접종 및 감염 예방 교육이 병행되면서, 나아가 확산을 방지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전 방위적 노력이 요구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