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니아, EU 가입 위한 AI 장관 임명…부정부패 척결의 새로운 시도

알바니아 정부가 최근 세계 최초로 인공지능(AI) 캐릭터 디엘라를 공공조달부 장관으로 임명했다. 이는 유럽연합(EU) 가입을 위한 부정부패 척결을 목적으로 한 새로운 시도로 평가받고 있다. 알바니아는 2009년 EU에 가입 신청을 했으나, 16년 동안 부패 문제 해결에 실패하며 가입이 좌절되어 왔다. 정부는 AI 장관인 디엘라를 통해 부패로 인한 뇌물수수와 같은 문제가 없는 청렴한 운영을 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알바니아 정부는 오는 16일부터 다음 달 2일까지 EU와의 정부 간 협상을 시작하며, 이 과정에서 부패 척결, 친환경 정책, 에너지 등 28개의 조건을 다룰 예정이다. 부정부패는 알바니아의 EU 가입을 방해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히며, 이번 AI 장관 임명은 이 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적 접근으로 보인다. 현 집권당인 사회당은 2030년까지 EU 회원국으로 가입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이를 위해 여러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AI 장관 임명에 대해 알바니아 야당은 법적 문제가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헌법에 따르면 장관직은 만 18세 이상의 시민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어, AI의 임명이 위헌이라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특히, 민주당의 가즈멘드 바르디 원내대표는 AI 장관 임명이 법적 문제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총리의 유머가 범죄로 변질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하게 비난했다.
AI 장관이 공식적으로 활동하려면 헌법 개정이 필요하지만, 현재 의회에서 사회당이 단독으로 헌법 개정을 하기에는 여건이 미비한 상황이다. 사회당은 의회에서 83석을 확보하고 있지만, 헌법 개정에는 93석 이상의 찬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AI 장관의 법적 지위 확립을 위해서는 복잡한 정치적 절차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AI 장관 임명이 부정부패 문제 해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킹스칼리지 런던의 법치주의 전문가 안디 호자즈 박사는 "AI를 활용한 정부 운영은 부패 척결이라는 주요 목표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알바니아 정부가 부패 문제를 해결하고 EU 가입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AI 장관을 도입한 만큼,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